강원도 강릉시 불교석조문화재
강원도 강릉시 불교석조문화재
▶강릉 방내리 삼층석탑(江陵 坊內里 三層石塔)=방현사지 삼층석탑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6호(지정일 1971.12.16)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방내리 307, 개인주택 정원
조성시기 : 고려시대
▶강릉 방현사지 석불좌상(江陵 坊縣寺址 石佛坐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방내리 307, 개인주택 정원
조성시기 : 고려 전기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29호 (지정일 2001.12.29)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연곡면 방내리 356-1, 송라사 약사전
조성시기 : 고려 전기
▶강릉 용연사 승탑원 승탑 8기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사기막리 821번지[중앙서로 961]
조성시기 : 조선 후기
강릉시 사천면 사기막리 821번지[중앙서로 961] 용연동(龍淵洞)에 있는 용연사 오른편 뒤 100m 지점에 석종형의 부도 8기가 있다.
계해칠월일립(癸亥七月日立), 부암당(浮巖堂), 계월당대사(桂月堂大師), 계암당(繼巖堂), 무인중춘립 완파당 대선사위(戊寅仲春立 阮波堂 大禪師位), 숭정기후오십삼년계춘일립 원파당대사법사부암당청허육세손(崇禎紀後五十三年季春日立 圓波堂大士法師浮巖堂靑虛六世孫), 주파당(州波堂’부도에 각자(刻字)가 확인되지 않는 높이 1m 부도 1기가 있다. 부암당 부도와 글자가 확인되지 부도 사이에는 비좌 1석이 있는데 ,장방형으로 크기는 65×10㎝이다.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江陵 寒松寺址 石造菩薩坐像)
보물 제81호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율곡로 3139번길 24, 강릉시립박물관
조성시기 : 고려시대
강릉에 있던 한송사가 폐사된 후 명주군 구정면 어단리에 있던 것을 보물로 지정하면서 1992년 강릉시립박물관으로 옮겨 보관하고 있다.
머리와 오른팔이 없어진 불완전한 보살상이지만 매우 활달한 조각수법을 보여 주는 희귀한 작품이다. 목에는 물론 삼도가 있었겠지만 지금은 흔적만 겨우 남아 있고, 여기서 시작된 가슴은 물론이고 신체 각부의 조각이 꽤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입체감이 풍부하다. 왼팔은 안으로 꺾어 왼다리에 얹었으며, 바른팔도 역시 그렇게 했을 테지만 없어지고 겨우 흔적만 있을 뿐이다.
이 보살상은 왼다리가 안으로 들어가고, 오른다리는 밖으로 내어 발을 그냥 바닥에 놓고 있다. 즉, 우서상(右舒相/Sukhasanamurti)이라 하겠는데, 이런 자세는 보살상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어느 본존불의 협시였을 것이다.
이 보살상은 한일협정으로 일본에서 반환되어 국보 제124호로 지정된 똑같은 양식의 보살상과 함께 원래는 강릉 한송사지(寒松寺址)에 있었는데, 지금은 강릉시립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강릉 석조여래입상(江陵 石造如來立像)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호(지정일 1984.06.02)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율곡로 3139번길 24, 강릉시립박물관
조성시기 : 고려 중기
강릉 석불입상은 옥천동 민가에 있었던 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 초기 양식의 석불로 1992년에 강릉향토사료관[현 강릉시립박물관]으로 이전하였다.
불상의 총 높이는 1.78㎝, 두고는 37㎝, 흉폭은 32㎝이다. 머리와 몸체가 두 조각 나 있던 것을 시멘트로 수리하였다.
강릉 석불입상이 발견된 지역에서는 1940년에 여래좌상이 조출된 옥신석 1매와 팔부신장이 조출된 상층 기단 면석 1매가 발견되어 현재 강릉시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이들 석탑재에 조출된 여래좌상과 팔부신장의 양식과 조식 수법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에 속한다. 이 점을 고려할 때, 석불입상의 조성 시기는 어깨가 몸체에 비해 좁고 옷주름도 평면적이므로 고려 초기로 추정된다.
강릉시 옥천동 일대에서 발견된 보물 제82호 및 제83호인 당간지주 2기 등과 함께 강릉 석불입상은 통일신라시대의 무진사(無盡寺)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강릉 옥천동 석탑재(江陵 玉川洞 石塔材)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4호(지정일 1984.06.02)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율곡로 3139번길 24, 강릉시립박물관
조성시기 : 통일신라시대
▶강릉귀부 (江陵龜趺)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2호(지정일 1984.06.02)
소재지 : 강원 강릉시 율곡로 3139번길 24, 강릉시립박물관
조성시기 : 조선시대
▶강릉 보광리 석조여래좌상 (江陵 普光里 石造如來坐像)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11호 (지정일 1992.06.10)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 산 400 [삼왕길 139-87]
조성시기 : 고려 전기
▶강릉 보현사 승탑원 승탑 20기(江陵 普賢寺 僧塔園 僧塔 20基)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현길 396, 보현사 승탑원
조성시기 : 조선 후기
성산면 보광리 보현사(普賢寺) 입구의 길가 남측에는 조선시대 종형부도 20기가 10기씩 2열로 세워져 있다. 별도로 세운 부도비는 없고, 15기는 부도 주인공의 이름을 부도 탑신에 새겨 놓았다. 모두 조선후기의 종형부도 양식인데 1기만이 종형부도의 탑신에 우진각 형식의 지붕돌을 얹었다. 지대석은 연화문을 새긴 예도 있으나 대체로 넓적한 자연석을 1~3개의 원형선을 돌리고 그 중앙에 부도를 놓았다.
이들 부도에 새겨진 글자는 마모가 심하고, 글자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서 명확한 판독을 하기는 어려운 편이다. 개천 쪽 부도열의 남측에서부터 주인공의 이름을 살펴보면 春波堂大師淨蓮之塔/無名/浦雲堂大師梵楚之搨/雲階堂楚欽/無名/無名/無名/(嵩?)峯堂大師∇宗之塔/ 峯堂∇∇大師之(塔)/華谷堂大師塔/醉蓮堂孟律之塔(취련당맹율지탑)/浦月堂聿悟塔/淸信居士雲月堂弼淨大士/月∇堂居士/無名/∇荷月堂∇連大禪師/明巖堂法宗/月岩堂大師舍利塔/五岩堂六森塔/海溪堂大師有暹之塔이다.
부도 중에서 화곡당대사탑(華谷堂大師塔)은 1860년에 판각된 「보현사중수기」에서 보이는 스님과 동일인으로 생각되며, 월암당대사사리탑(月岩堂大師舍利塔)은 보현사의 향도조직인 『미타계좌목』에서 보이고 있다. 이러한 자료는 보다 세밀한 분석을 통한다면 조선후기의 보현사에 주석하였던 스님의 법맥을 비롯하여 부도의 시기적 양식, 사회경제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부도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작은 보주와 장타원형 탑신을 갖춘 일반적인 석종형 부도, 보주를 두고 돌대문 밑으로는 평면에 가까울 정도로 넓은 탑신의 상부를 갖추면서 탑신의 측면은 배부른 선이 없이 직선에 가깝게 내려진 석종형 부도, 그리고 보주와 탑신의 구별이 거의 없이 조성된 석종형 부도로 구분지어 볼 수 있다. 대부분 보주와 탑신 사이에 연주문을 갖춘 돌대문을 조식하고 있으며, 몇 기는 약식화 하여 돌대문만 표현한 부도도 있다. 가장 큰 부도는 153㎝이며, 평균 110㎝ 정도이다.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는 양호하다.
조선 후기에 들어 종형부도 건립이 전국적으로 활성화되는데 보현사에도 20기가 건립되었다. 20기 중에서 15기가 주인공을 알 수 있으므로 인근지역의 부도, 사적기, 비문 등을 통하여 강릉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종형부도의 양식과 건립시기 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강릉 보현사 석구(江陵 普賢寺 石句)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현길 396, 보현사
조성시기 : 통일신라 말-고려 초
▶강릉 보현사 석탑재(江陵 普賢寺 石塔材)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현길 396, 보현사
조성시기 : 통일신라 말-고려 초
보현사 대웅전 앞에 있는 삼층석탑부재 이다. 탑재는 현재 연화문이 조각된 사각방형의 석등 하대석 부재 위에 놓여 있다. 탑신석은 좌상인 사방불이 모각되어 있는 점을 감안하면 1층 탑신석이 확실하고, 위의 옥개석은 탑신석의 폭과 최하단의 옥개받침 너비의 비율, 남아 있는 옥개석 2점의 체감율을 계산하면 1층 옥개석이 확실하다. 옥개석 사이에 있는 부재는 노반석이 거꾸로 끼워져 탑신석처럼 사용되고 있으며, 위층의 옥개석은 윗면에 찰주공이 있으므로 3층 옥개석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가장 위에 놓인 부재는 복발로 반이 갈라진 상태이다. 옥개석은 전각부분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을 정도로 심하게 파손되었으며 옥개받침은 4단이다.
원형은 3층 석탑이었으나 현재는 2층만이 남아 있다. 기단은 모두 결실하였고 옥개석 2점, 탑신석 1점, 노반과 복발이 남아 있다. 강릉시 방내리와 강릉시립박물관에는 1층 탑신에 사방불이 모각된 탑과 탑재가 남아 있다.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江陵 普賢寺 朗圓大師塔)
보물 제191호(지정일 1963.01.21)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현길 396, 보현사
조성시기 : 고려시대
보현사에 자리하고 있는 낭원대사의 사리탑으로,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무너져있던 것을 사찰입구에 복원해 두었다가, 1991년 다시 원래의 자리인 산꼭대기 주변으로 옮겼다.
탑신을 받치는 기단은 세 개의 받침돌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가운데받침돌이 없어져 아래받침돌 위에 바로 윗받침돌이 얹혀있다. 탑신의 몸돌 한쪽 면에는 문 모양과 자물쇠 모양을 새겨 두었다. 지붕돌은 두터운 편이며, 경사가 급하고, 여덟 곳의 귀퉁이마다 꽃장식을 얹었던 흔적이 남아있다. 지붕돌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이 놓여 있다.
낭원대사탑비가 고려 태조 23년(940)에 건립되었으므로, 이 탑도 이 때 같이 세워놓은 것으로 보인다.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江陵 普賢寺 朗圓大師塔碑)
보물 제192호(지정일 1963.01.21)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현길 396, 보현사
조성시기 : 고려시대
보현사에 있는 낭원대사(834∼930)의 탑비로, 대사의 출생에서부터 경애왕이 대사의 덕을 기려 국사로 예우한 사실 및 입적하기까지의 그의 행적이 실려 있다. 대사가 96세로 입적하자 왕은 ‘낭원’이라는 시호와 '오진’이라는 탑 이름을 내리었다.
비는 거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모습이다. 용의 머리를 갖춘 거북받침돌은 등에 6각의 벌집 모양이 채워져 있고, 중앙에는 구름무늬로 장식한 높은 비좌가 마련되어 있다. 머릿돌은 밑면에 연꽃을 새기고 그 위로 여의주를 다투는 두 마리의 용을 힘차게 조각해 놓았다. 꼭대기에는 석탑에서처럼 복발과 1단의 보륜을 갖추고, 화염에 싸인 보주를 얹고 있어 특이한 모습이다.
대사가 입적한 지 10년 뒤인 고려 태조 23년(940) 세워진 비로, 비문은 당대의 문장가인 최언위가 짓고, 서예가인 구족달(仇足達)이 글씨를 썼다.
▶강릉 보현사 석조아미타삼존불상과 복장유물(江陵 普賢寺 石造阿彌陀三尊佛坐像과 腹臟遺物)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67호(지정일 2013.01.11)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현길 396, 보현사
조성시기 : 조선시대 (1691년)
이 삼존불은 본존불인 아미타불과 좌우협시보살인 관음보살, 대세지보살로 이루어진 아미타 삼존불좌상으로 현재 보현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다.
본존인 아미타불은 연화좌대 위에 결가부좌한 좌상으로 오른손은 무릎위에 살짝 걸친 아미타 수인의 변형 수인을 짓고 있으며, 왼손은 아미타 수인을 취하고 있다. 불두는 육계가 불분명한 형태로 나발이 작고 촘촘하며, 정상계주와 중앙계주가 뚜렷한 편으로 17세기 불상형식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얼굴은 갸름한 방형이며, 불신의 상체는 위아래가 거의 비슷한 사각형에 가까운 형태이다.
좌우 협시불인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은 연화대좌 위에 왼 무릎위로 오른발을 올린 결가부좌 형태이다. 얼굴은 아미타불과 같은 방형의 얼굴이며, 직사각형의 상체, 삼각형의 다리, 오른손을 오른 다리에 살짝 걸치고 왼손을 왼 무릎위에서 엄지와 구부린 4손가락의 중지와 맞댄 수인 등 동일한 형태이며, 보관과 2중 착의법만 차이가 있다.
아미타불의 복장공에서 「康熙三十年辛未五月二十四日佛像願文…」의 조성기가 확인되어 이 불상이 1691년에 제작되었으며, 불상을 옮겼다는 내용으로 미루어 다른 장소에서 불상이 조성되어 보현사로 이운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강릉 관음리 오층석탑(江陵 觀音里 五層石塔) = 안국사지 5층석탑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12호(지정일 1992.06.10)
크기 : 전체높이 약 3.8m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관음리 774번지
조성시기 : 고려시대
▶강릉 안국사지 석불대좌(江陵 安國寺址 石佛臺座)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관음리 774, 안국사지
조성시기 : 고려시대
▶강릉 안국사지 석등재(江陵 安國寺址 石燈材)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관음리 774, 안국사지
조성시기 : 고려시대
▶강릉 대창리 당간지주(江陵 大昌里 幢竿支柱)
보물 제82호(지정일 1963.01.21)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옥천동 333-3
조성시기 : 통일신라시대
▶강릉 수문리 당간지주(江陵 水門里 幢竿支柱)
보물 제83호(지정일 1963.01.21)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옥천동 43-9
조성시기 : 통일신라 말-고려 초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 (江陵 神福寺址 石造菩薩坐像)
보물 제84호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내곡동 403-2
조성시기 : 고려시대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江陵 神福寺址 三層石塔)
보물 제87호 (지정일 1963.01.21)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내곡동 403-2, 신복사지
조성시기 : 고려 전기
▶강릉 굴산사지 석불좌상 (江陵 崛山寺址 石佛坐像)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8호 (지정일 1984.06.02)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70-82, 보호각
조성시기 : 고려 전기
▶강릉 굴산사지 당간지주
보물 제86호(지정일 1963.01.21)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1181
조성시기 : 고려
▶강릉 청학사 석불좌상ㆍ광배 및 중대석(江陵 靑鶴寺 石佛坐像ㆍ光背 및 中臺石)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52호 (지정일 2011.08.12)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청파로 176-38, 청학사
조성시기 : 고려시대
▶강릉 등명사지 오층석탑(江陵 燈明寺址 五層石塔)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7호(지정일 1971.12.16)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549 [율곡로 1505-16]
조성시기 : 고려 전기
▶강릉 대관령박물관 석조여래입상(江陵 大關嶺博物館 石造如來立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대관령옛길 1, 대관령박물관
조성시기 : 고려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석판불좌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
조성시기 : 신라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석판불좌상 •금강역사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
조성시기 : 통일신라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금동불좌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
조성시기 : 조선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금동여래입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
조성시기 : 통일신라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목조보살좌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대관령옛길 1, 대관령박물관
조성시기 : 고려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목장승 1쌍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
조성시기 : 조선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청동금강역사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
조성시기 : 통일신라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석조불두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조선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석불좌상(1)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고려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석조여래좌상(2)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고려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석불좌상(3)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조선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석조대좌•광배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고려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연화대석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고려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석조미륵불입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조선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석인상(벅수)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조선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석조삼신할미상(2구)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조선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석등 4기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강릉 대관령박물관 장명등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조선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팔각원당형 승탑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강릉 대관령박물관 익암당탑(江陵 大關嶺博物館 益岩堂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조선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승탑 2기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조선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문인석 8쌍, 동자석 4쌍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조선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인왕상 부조 2구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
조성시기 : 통일신라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노주석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조선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석장승 1쌍(머슴과 낭자)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조선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오층석탑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강릉 대관령박물관 석수 2쌍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조선시대
▶강릉 대관령박물관 귀부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 374-3, 대관령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조선시대
▶강릉 청학사지 승탑군(江陵 靑鶴寺址 僧塔群)---5기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삼산2리 291-2, 청학사지
조성시기 : 조선시대
네비에 외동 2교(연곡면 성산2리) 입력하여 다리 건너기 전에 주차 후 다리를 건너 좌측 길로 5분정도 가면 우측 밭 한가운데에 5기의 부도가 있다. 청학사지 부도들은 모두 조선시대에 유행했던 석종형부도로서 기단석 위에 종모양의 탑신을 세운 것 4기와 탑신 위에 옥개석을 구비한 것 1기로 구분된다.
부도에는 당시 청학사와 관련된 스님들의 이름이 각각 적혀 있는데, ‘蓴坡堂(순파당)’, ‘甑嚴堂(증엄당)’, ‘喚松堂(환송당)’, ‘雪臥堂(설와당)’, ‘尋棠花芳瑞堂(심당화방서당)’ 이다.
현재 쓰러져 있는 ‘심당화방서당(尋棠花芳瑞堂)’ 부도의 밑바닥 중앙에는 깊이 10㎝, 지름 16㎝ 정도의 사리공(舍利孔)이 있다. 부도의 높이는 순파당 125㎝, 증엄당 92㎝, 환송당 108㎝, 설와당 128㎝, 심당화방서당 140㎝이다.
▶강릉 산계리 삼층석탑(江陵 山溪里 三層石塔)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43호(지정일 1984.06.02)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산계리 1230-2 [석화동굴길 246]
조성시기 : 고려시대
강릉시 산계리 절터에 무너진 석탑재를 모아 놓은 3층 석탑 1기가 있다. 강릉의 읍지인『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사찰조에 ‘산계암은 강릉부에서 남쪽으로 80리 떨어진 산계령에 있다. (山溪菴在府南八十里山溪嶺下)’라는 기록만 있을 뿐이다. 이후에 간행된『강원도지』,『사탑고적고(寺塔古蹟攷)』,『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 등에도 간략히 소개되었다.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가 1933년에 발간된 점을 고려할 때, 3층 석탑이 조성될 당시의 사찰명과 산계암이라는 사찰명이 직접 연관될 가능성은 적다고 하겠다.
3층 석탑은 기단부의 갑석과 면석이 하나씩만 남아 있어 하부 구조를 정확히 알 수 없는데, 현재의 기단은 새로운 석재로 보완한 것이다. 그리고 나머지 결실된 부분도 새로운 석재를 끼워서 기단부와 탑신부를 복원한 상태이다. 탑신부는 옥신석과 옥개석을 각각 1석씩으로 만들었으며, 옥개석은 옥개받침에 비하여 매우 두껍고, 낙수면의 경사가 급하다. 2, 3층 옥개석은 마멸이 심하여 원형을 알아보기 어렵다. 하지만, 1층 옥개석은 4단의 옥개받침이 있고, 상면에는 2단의 옥신받침이 있으며, 모서리에는 풍탁(風鐸)을 달았던 구멍이 있다. 상륜부에는 노반, 복발, 앙화가 남아 있다. 이 탑은 각 부분의 양식으로 볼 때 고려시대 때 조성된 석탑으로 추정된다.
▶강릉 용연사 석탑 (江陵 龍淵寺 石塔)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39호(2006.07.28)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중앙서로 961 (사천면, 용연사)
조성시기 : 조선시대
龍淵寺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4교구 월정사의 말사로, 1650년 인조(仁祖) 때 도승(道僧) 옥잠(玉岑)이 창건하였다고 전하며, 일설에는 왕침대사(王葴大師)가 응봉산 동쪽 용연동 만월산(萬月山)에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1950년 한국전쟁때 全燒되었다가 한 女僧의 盡力으로 중건되었다. 『東國與地勝覽』과 『輿地圖書』등 朝鮮時代 문헌에는 기록이전혀 없어 정확한 창건연대와 내력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그러나 江陵邑誌인『增修臨瀛誌』寺刹條에 <龍淵寺在府北三十里二十間…有僧玉岑經始此寺云>이라고 하여 順治年間(1644년 경)에 승려 옥잠이 처음으로 이절을 세웠다고 전한다. 이 석탑은 조선시대 조성된 것으로 원래는 2기의 雙塔이었을 것으로 보이나, 허물어져 주변에 흩어졌던 부재를 다시 모아 1기의 석탑으로 조립한 것이다.
▶강릉 용연사 승탑원 승탑 7기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중앙서로 961 (사천면, 용연사) 용연사 향 우측 200m 지점
조성시기 : 조선시대
▶강릉 용연사 석조관음보살좌상 (江陵 龍淵寺 石造觀音菩薩坐像)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41호(2007.01.19)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중앙서로 961 (사천면, 용연사)
조성시기 : 조선시대
▶강릉 백운사 석불좌상(江陵 白雲寺 石佛坐像) - 佛頭缺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유등리 434, 백운사 축대 아래편
조성시기 : 고려 전기
▶강릉 백운사 승탑 2기(江陵 白雲寺 僧塔 2基)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유등리 434, 백운사 축대 아래편
조성시기 :
▶강릉 백운사 관음보살좌상(1955년 영주 부석사에서 옮겨옴)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백운동길 143
조성시기 :
▶강릉 보광리 승탑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 836-3, 청간사 담장 옆(김시습 배향사당)
조성시기 : 조선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