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조문화재/佛敎 石造文化財 資料

경남 함양군 불교석조문화재

정태욱 2020. 2. 25. 19:28





경남 함양군 불교석조문화재

 

함양 이은리 석조여래입상(咸陽 吏隱里 石造如來立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2(지정일 1972.02.12)

    크기 : 불상높이 1.8m

    소재지 : 경남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 354-4, 상림공원

    조성시기 : 고려시대

 

불신의 허리 아래편인 하반부를 잃었고, 양팔의 손목 부분도 절단된 상태로 이은리 냇가에 방치되어있던 이 석불은 1950년 무렵에 상림공원 현재의 위치로 옮겨놓았다고 하며, 불신을 떠나보낸 석조대좌는 지금도 옛 자리를 지키고 있다.

석조대좌가 있는 이은리 냇가 주변의 약 300m 지점에는 망가사(望迦寺)라는 절이 있었다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 사찰과 관련이 있는 불상으로 추정된다.

 

함양 이은리 석불입상 대좌(咸陽 吏隱里 石佛立像 臺座)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2(지정일 1972.02.12)

    소재지 : 경남 함양읍 이은리 1139-45 (거면교 인근)

    조성시기 : 고려시대

 

거면교 다리(이은리 788)를 건너서 바로 오른쪽 좁은 길로-개울을 지나 축사(함양로 950)에 이르기 전 오른쪽으로 가면 대나무 숲 아래편에 있다.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咸陽 校山里 石造如來坐像)

    보물 제376(지정일 1963.01.21)

    소재지 : 경남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 217, 함양중학교 교정

    조성시기 : 고려시대

 

함양 백연리 석조여래좌상(咸陽 栢淵里 石造如來坐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함양읍 백연리 249-4, 함양고등학교 교정

    조성시기 : 고려시대

 

불두가 결실되어 시멘트로 보완된 모습으로 함양고등학교 교정을 지키고 있는 이 석불은 왼손도 온전하지 못하며, 결가부좌하여 앉은 양 다리 부분도 파손이 심한 편이어서 자세한 양식적 특징을 살펴보기는 어렵지만 대체로 함양 승안사지 석조여래좌상(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3) 계열에 속하는 고려시대의 불상으로 추정된다.

 

함양 용산사지 석조여래입상(咸陽 龍山寺址 石造如來立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18(지정일 1997.01.30)

    크기 : 상높이 235cm, 어깨폭 66cm, 대좌 23×107×94cm

    소재지 : 경남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 289, 보림사 미륵전

    조성시기 : 고려시대

 

이 석불은 보림사 미륵전에 안치된 석조여래입상으로 원래에는 함양읍 교산리 소재 옛 용산사지 부근에서 약150년 전에 발견되어 민가에 봉안하였던 것을 그 후 도시계획으로 민가가 철거됨에 따라 1990년 초에 지금의 위치인 보림사에 이봉 하였다. 이 석불은 훼손이 심한 편인데, 아마도 배불숭유 정책을 취하였던 조선시대에 수난 당한 것으로 생각된다.

 

함양 승안사지 석조여래좌상(咸陽 昇安寺址 石造如來坐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3(지정일 1972.02.12)

    크기 : 불상높이 2.8m

    소재지 : 경남 함양군 수동면 우명리 263, 보호각

    조성시기 : 고려시대

 

통일신라 때 번창한 사찰인 승안사(昇安寺)에 관한 기록은 1530(중종 25)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799(정조 23)에 간행된 범우고(梵宇攷)를 통해서 살필 수 있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사찰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와 있고 범우고에는 사찰이 이미 없어졌다고 기록하였다. 따라서 승안사는 적어도 16세기까지는 존재하다가 18세기 말 이전에 폐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승안사지 석조여래좌상은 승안사지 사역 북쪽에 자리한 보호각 내에 봉안되어 있는데, 하체 부분은 파손이 심한 편이다. 불두는 절단되어 있었으나 근래에 목 위에 얹어 놓았다. 목에는 삼도가 표현되어 있었으나 마모되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법의는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편단우견식이고, 옷 주름은 사선을 그리며 규칙적으로 아래를 향해 배열되었다. 왼쪽 어깨 뒤편에는 몸 앞에서 넘긴 옷자락이 세로로 조각되어 있다. 왼팔은 부러져 있어 정확한 수인을 확인할 수 없다. 오른팔 역시 아랫부분이 마모가 되어 있어 형태가 명확하지 않다. 앉은 자세인 허리 아래의 양 다리부분은 파손이 심한 상태를 보여준다.

 

함양 승안사지 삼층석탑(咸陽 昇安寺址 三層石塔)

    보물 제294(지정일 1963.01.21)

    소재지 : 경남 함양군 수동면 우명리 263

    조성시기 : 고려시대

 

승안사 터에 서 있는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의 고려시대의 탑이다. 특히 2층 기단에는 부처, 보살, 비천 등을 새겨 장식하였으며, 또한 기단의 맨 윗돌에는 연화문을 새겨 둘러놓았는데 이러한 장식은 보기 드문 모습이다.

 

탑신부에서는 각 층의 탑신석과 옥개석이 각각 하나의 돌로 제작되었으며, 2층부터는 탑신석의 크기가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다. 1층 탑신석의 각 면에는 사천왕상(四天王像)이 부조로 장식되어있다. 옥개석은 탑신석에 비해 넓은 편이고 밑면에는 4단의 받침을 두었다.

 

전체적으로 이 석탑은 통일신라 석탑의 기본을 따르면서도 부분적으로 고려 특유의 수법을 보여주며, 기단과 탑신의 비례가 균형을 잃어 잘 다듬은 작품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곳곳에 나타나는 특수한 양식이나 장식에 많은 힘을 기울인 흔적 등 고려 전기의 특색을 보여주고 있다.

 

이 탑은 원래의 위치에서 두 번 옮겨졌는데, 1962년 탑을 옮길 당시 1층 몸돌에서 발견된 사리장치를 통해 처음 탑을 옮겨 세운 시기가 조선 성종 25(1494)인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함양 극락사지 석조여래입상 (咸陽 極樂寺址 石造如來立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4(지정일 1979.02.12)

    소재지 : 경남 함양군 서상면 옥산리 377

    조성시기 : 고려시대

 

이 불상은 1957년에 마을주민에 의해 부근의 밭에서 출토된 여래입상으로 옛 극락사지라고 추정되는 이곳에 옮겨 봉안된 상이다. 몸이 두 동강이 났고, 팔과 코는 없었는데, 이를 새로 만들고 보수하여 극락사지와 연관된 것으로 생각하여 이곳에 다시 세운 것이다.

불신과 대좌를 한 돌로 조성한 이 불상은 얼굴과 손 등에 약간의 손상이 있을 뿐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이 불상이 세워져있는 극락사지에 관해서는동국여지승람'극락암은 백운산에 있었는데, 이제는 없다'로 기록되어 있기에 임진왜란 때 폐사된 것으로 추측된다.

 

함양 대덕리 마애여래입상 (咸陽 大德里 磨崖如來立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19(지정일 1997.01.30)

    경남 함양군 함양읍 대덕리 159-21

    조성시기 : 고려시대

 

일명 부처골이라 불리는 경남 함양군 함양읍 대덕리 메아리골 바위면에 조각된 불상이다. 주변 환경으로 미루어 보아 옛 절터로 추정되나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전체적인 윤곽을 가는 선으로 표현하였다.


함양 덕전리 마애여래입상(咸陽 德田里 磨崖如來立像)

    보물 제375(지정일 1963.01.21)

    크기 : 불상높이 5.8m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덕전리 75-1 [덕전길 103-104] 고담사

    조성시기 : 고려시대 전기

 

함양 운서리 석조여래좌상(咸陽 雲西里 石造如來坐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휴천면 운서리 705번지

    조성시기 : 고려시대

 

운서리 소리마을영농조합 입구 삼거리의 농가주택(운서리 701-1) 도로변에 주차 후 아래편 길로 약 30m 가다 왼편 대밭길을 따라 30m 내려가면 우측에 바로 석불좌상이 있다.

 

함양 영은사지 석장승 2

    경상남도 민속자료 제19(지정일 1996.03.11)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백전면 백운리 산49

    조성시기 : 조선 영조 41(1765)

 

백운암 입구에 마주보고 서 있는 2개의 돌장승이다. 이곳은 영은사가 있었던 터로, 각각 우호대장군’, ‘좌호대장군이 되어, 사냥과 어로를 금하고 잡귀의 출입을 막는 수문장 기능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우호대장군은 높이 280, 너비 50이고, 좌호대장군은 높이 270, 너비 50이다.

제작년대는 좌호대장군 우측하단에 새긴 기록으로 보아 조선 영조 41(1765)에 제작된 것이 확인된다. 사찰을 수호하며, 풍수지리적으로 국가의 번영과 임금의 수명장수를 기원하는 복합적인 기능과 더불어 민간신앙의 기원대상물이었던 유물의 한 예이다.

 

함양 백운암 승탑원 승탑 7(영은사지 승탑 7)

     ♣승탑(僧塔)-조선후기

     ♣승탑(僧塔)-조선후기

     ♣곡당탑(谷堂塔)-조선후기

     ♣송월당운혜대(松月堂雲惠大)-조선후기

     ♣구계당탑(龜溪堂塔)-조선후기

     ♣월암당탑(月巖堂塔)-1743

     ♣승탑(僧塔)-조선후기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백전면 백운산길 85, 백운암 승탑원

 

     ♣건륭 32년명(1767) 동종(백운사 대웅전)

 

함양 금대사 삼층석탑(咸陽 金臺寺 三層石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4(지정일 1972.02.12)

    크기 : 전체높이 208cm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가흥리 산17-1, 금대사

    조성시기 : 고려 초기

 

함양 등구사 석탑(咸陽 登龜寺 石塔)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7(지정일 2012.03.08)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구양리 산30-5

    조성시기 : 고려 초기

 

함양 상무주암 삼층석탑(咸陽 上無住庵 三層石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삼정리 산 91-1, 상무주암

    조성시기 : 고려시대

 

함양 상무주암 회암당탑(咸陽 上無住庵 晦庵堂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삼정리 산 91-1, 상무주암

    조성시기 : 조선후기

 

함양 학사루 석등(咸陽 學士樓 石燈)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함양읍 학사루길 4, 학사루

    조성시기 : 조선시대

 

학사루는 정면 5, 측면 2칸의 2층 팔작지붕 건물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90호이다. 주위에는 계자난간(鷄子欄干)을 두르고 남면(南面)하고 있다.

어느 때 지어졌는지는 알 길이 없으나 일설에 의하면 최치원(崔致遠)이 함양태수(咸陽太守)로 있을 때 창건하여 자주 올랐으므로 학사루라 이름 하였다고 한다. 원래는 관아에 딸린 건물로서 옆에 객사가 있었고 동쪽에는 제운루(齊雲樓), 서쪽에는 청상루(淸商樓), 남쪽에는 망악루(望嶽樓)가 있었다고 전하여진다.

1380(우왕 6) 왜구의 노략질에 의하여 관아와 함께 불타버렸으며, 1692(숙종 18)에 중수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1910년경부터 함양국민학교 교사로 쓰여오다가 1963년부터는 군립도서관으로 쓰였으며, 1978년 겨울 현재 위치로 옮겼다.

김종직(金宗直)이 함양군수 재임시 학사루에 걸려 있던 유자광(柳子光)의 시를 철거시킨 것이 무오사화의 한 원인이 되었다는 말도 전하여진다. 현재는 함양군청 정문 앞에 있다.

 

함양 용추사 제1승탑원 승탑 9, 석조(수조)

     ♣설화당관학탑(雪華堂觀學塔)-조선후기

     ♣승탑(僧塔)-조선후기

     ♣승탑(僧塔)-조선후기

     ♣승탑(僧塔)-조선후기

     ♣평허당의순탑(平虛堂義淳塔)-조선후기

     ♣승탑(僧塔)-조선후기

     ♣원랑당보관탑(圓郞堂寶寬塔)-조선후기

     ♣승탑(僧塔)-조선후기

     ♣춘곡당상란탑(春谷堂常蘭塔)-조선후기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산16-12, 용추사 제1승탑원

 

함양 용추사 제2승탑원 승탑 3

    ♣문곡당탑(文谷堂塔)-조선후기

    ♣청심당탑(淸心堂塔)-조선후기

    ♣연우당축훈대사탑(煙藕堂竺訓大師塔)-조선후기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안의면 용추휴양림길 150-3

 

함양 용추사 목조석가삼존불좌상(咸陽 龍湫寺 木造釋迦三尊佛坐像)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석가불 높이 125cm, 무릎폭 83cm

             문수보살 높이 110cm, 무릎폭 73cm

             보현보살 높이 116cm, 무릎폭 74cm

    소재지 : 경남 함양군 안의면 용추계곡로 623, 용추사 대웅전

    조성시기 : 조선후기

 

함양 용추사 목조지장시왕상(咸陽 龍湫寺 木造地藏十王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80(지정일 2002.10.24)

    소재지 : 경남 함양군 안의면 용추계곡로 623, 용추사 명부전

    조성시기 : 1694

 

용추사의 명부전에 모셔져 있는 본존인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하여 왼쪽에 도명존자와 오른쪽에 무독귀왕, 그리고 그 좌우에 시왕상 등 모두 13구의 불상들로 복장기에 의하면, 조선 숙종 20(1694)에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지장보살상은 등을 세우고 얼굴을 약간 내민 상태의 가부좌 모습으로, 양손은 따로 만들어 끼웠으며 제1지와 제3지를 구부려 맞대고 있다. 얼굴은 네모 반듯한 모양으로 가늘고 긴 눈, 우뚝 솟은 콧등이 특징적이다.

도명·무독귀왕과 시왕상은 여러 부위를 조립하여 연결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시왕상들은 족대가 붙은 의자에 두 다리를 걸치고 정면을 향한 자세로 표현기법이 거의 동일하다.

 

함양 법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咸陽 法印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보물 제1691(지정일 2010.12.21)

    크기 : 상 높이 83cm, 무릎너비 59cm

    소재지 : 경남 함양군 안의면 금성길 14, 법인사 극락보전

    조성시기 : 조선 효종 8(1657)

 

법인사 극락보전(極樂寶殿)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 아미타여래좌상이다. 이 불상의 복장물로 대장경목록1, 법화경2, 보치진언(寶齒眞言)등이 있다.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17세기 전반기에 활동했던 조각승 법령(法靈)을 계승한 제자 조능(祖能)1657(효종 8) 작품임을 발원문을 통해 알 수 있다. 발원문에는 조능 외에 영규(靈圭) 등의 조각승과 시주자 등 조상불사 관계자, 당시 기거했던 아동들까지 빠짐없이 기록되어 있어 주목된다. 한편, 이 아미타여래좌상은 원래 함양 용추사(龍湫寺)에 봉안되었던 불상이었으나, 화재로 소실된 용추사를 중건한 1734(영조 10)에 불상도 새로이 봉안되면서, 원래의 이 불상을 현 위치로 옮긴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불상은 정상계주와 중간계주를 두었고, 나발은 이마 주변에서는 작지만 나머지 부분은 굵고 크게 묘사되었다. 고개는 높은 단 위에서 약간 아래를 내려다보는 각도로 조정되어 있고 코는 높으면서 입은 매우 가늘어서 날카로운 인상을 주지만 은은한 미소가 감돌고 있다. 착의형식은 양 어깨를 덮은 상의(上衣)와 그 안의 내의(內衣), 그리고 오른쪽 어깨 일부와 왼팔을 감싸고 있는 대의(大衣)를 입고 있는 모습이다. 옷주름은 굵고 간략하게 표현되었지만, 오른쪽 어깨의 대의자락의 반전이나 왼팔을 감싼 대의자락의 끝단, 왼쪽 무릎 부분에서 흘러내리고 있는 대의자락 등은 규칙적이지 않아 자연스러운 느낌이 남아 있다. 결가부좌한 다리 사이로 부채꼴 모양으로 흘러내린 옷자락도 큰 옷주름을 중심으로 옆으로 작은 옷주름을 배열하여 단조로움을 피하고 있으며 힘이 있다. 별도로 만들어 삽입한 양손은 중품하생인(中品下生印)을 결하고 있는데, 전체적인 인상에 비해 다소 가늘게 조각된 감이 있지만, 정교하게 만들어졌다.

발원문을 통해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조성연대와 조각승 등을 알 수 있어 조선 후기 불상 조각양식의 계승과 변화과정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함께 수습된 복장물도 당시의 불서 연구에 귀중한 자료적 가치가 있다.

   •「조선시대 불교조각사론(문명대,한국의 불상조각4,예경,2003)

 

함양 영원사 목조보살좌상(咸陽 靈源寺 木造菩薩坐像)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상 높이 82cm, 무릎 폭 57cm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마천삼정로 1256, 영원사 두류선림

    조성시기 : 조선후기

 

함양 영원사 승탑원 승탑 5

     ♣영암당탑(影巖堂塔)-조선후기,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45-1

     ♣설파당탑(雪坡堂塔)-조선후기,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45-2

     ♣중봉당탑(中峯堂塔)-조선후기,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45-3

     ♣청계당탑(淸溪堂塔)-조선후기,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45-4

     ♣벽허당탑(碧虛堂塔)-조선후기,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45-5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45(지정일 2006.07.20)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삼정리 산161, 영원사 승탑원

 

함양 영원사 경외 승탑(僧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마천삼정로 1256, 영원사 경외

    조성시기 : 조선시대

 

함양 안국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咸陽 安國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44(지정일 2006.07.20)

    크기 : 상 높이 98cm, 무릎 폭 69cm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천왕봉로 1035-337, 안국사 무량수전

    조성시기 : 조선 후기

 

함양 안국사 목조관음보살좌상(咸陽 安國寺 木造觀音菩薩坐像)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29(지정일 2008.01.10)

    크기 : 상 높이 88cm, 무릎 폭 57cm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천왕봉로 1035-337, 안국사 무량수전

    조성시기 : 조선 후기

 

함양 안국사 행호조사모전신탑(咸陽 安國寺 僧塔園 行乎祖師母全身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5(지정일 1972.02.12)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천왕봉로 1035-337, 안국사 승탑원

    조성시기 : 조선 전기

 

     •행호조사모전신탑비(行乎祖師母全身塔碑)-1878

 

함양 안국사 초창주 행호조사유적비(安國寺 初創主 行乎祖師遺跡碑)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천왕봉로 1035-337, 안국사 승탑원

    제작시기 : 1877

 

함양 안국사 금송당사리탑(咸陽 安國寺 琴松堂舍利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5(지정일 1972.02.12)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천왕봉로 1035-337, 안국사 승탑원

    조성시기 : 조선 후기

 

함양 안국사 은광대화상부도탑 (咸陽 安國寺 隱光大和尙浮屠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재337(지정일 1998.11.13)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천왕봉로 1035-337, 안국사

    조성시기 : 통일신라 말기-고려 초기

 

함양 안국사 석조부재 4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천왕봉로 1035-337, 안국사 경내

    조성시기 :

 

함양 벽송사 삼층석탑(咸陽 碧松寺 三層石塔)

    보물 제474(지정일 1968.12.19)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광점길 27-177, 벽송사

    조성시기 : 조선시대

 

이 석탑은 1520(중종 15)경 벽송사의 창건과 함께 조성되었다고 생각되며 우리나라 석탑의 전형적인 양식을 계승한 점에서 주목된다.

 

함양 벽송사 제1승탑원 승탑 3(咸陽 碧松寺 第1僧塔園 僧塔 3)

     ♣승탑(僧塔)-조선후기

     ♣율봉당탑(栗峯堂塔)-조선후기

     ♣승탑(僧塔)-조선후기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광점길 27-177, 벽송사 제1승탑원

 

함양 벽송사 제2승탑원 승탑 2(咸陽 碧松寺 第2僧塔園 僧塔 2)

     ♣남곡당탑(南谷堂塔)-조선후기

     ♣경암당탑(鏡巖堂塔)-조선후기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광점길 27-177 벽송사 제2승탑원

 

함양 벽송사 목조관음보살좌상(咸陽 碧松寺 木造觀音菩薩坐像)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상 높이 96cm, 무릎 폭 58cm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광점길 27-177, 벽송사 원통전

    조성시기 : 조선후기

 

함양 벽송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상 높이 68cm, 무릎 폭 46cm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광점길 27-177, 벽송사 강원

    조성시기 : 조선후기

 

함양 벽송사 목조지장보살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상 높이 53cm, 무릎 폭 37cm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광점길 27-177, 벽송사

    조성시기 : 조선후기

 

함양 법화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咸陽 法華寺 木造阿彌陀三尊佛坐像)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아미타불 높이 95cm, 무릎폭 68cm

             관음보살 높이 80cm, 무릎폭 57cm

             세지보살 높이 83cm, 무릎폭 57cm

    소재지 : 경남 함양군 휴천면 문상길 155-100, 법화사 대웅전

    조성시기 : 조선후기

 

함양 법화사 목조여래좌상(咸陽 法華寺 木造如來坐像)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상 높이 61cm, 무릎 폭 45cm

    소재지 : 경남 함양군 휴천면 문상길 155-100, 법화사 대웅전

    조성시기 : 조선후기

 

함양 법화사 삼층석탑(咸陽 法華寺 三層石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휴천면 문상길 155-100, 법화사 경내

    조성시기 : 조선시대

 

함양 법화사 석탑재(咸陽 法華寺 石塔材)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휴천면 문상길 155-100, 법화사 경내

    조성시기 : 조선시대

 

함양 법화사 승탑(咸陽 法華寺 僧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휴천면 문상길 155-100, 법화사 경내

    조성시기 : 고려시대

 

함양 법화사 승탑원 승탑 2, 승탑부재

     ♣우암당탑(雨岩堂塔)-조선후기

      ♣계화당천휘탑(桂華堂天暉塔)-조선후기

     ♣승탑부재(僧塔部材)-1757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휴천면 문상길 155-100, 법화사

 

함양 사리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咸陽 舍利庵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상 높이 76cm, 무릎 폭 47cm

    소재지 : 경남 함양군 함양읍 죽곡리 산 40, 사리암 법당

    조성시기 : 1711

 

함양 영각사 승탑원 승탑 4

     ♣승탑(僧塔)-조선후기

     ♣승탑(僧塔)-조선후기

     ♣승탑(僧塔)-조선후기

     ♣활연당탑(豁然堂塔)-조선후기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서상면 덕유월성로 567, 영각사 승탑원

 

함양 영각사 괘불대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서상면 덕유월성로 567, 영각사 경외

    제작시기 : 조선후기

 

함양 서운암 호월당탑(咸陽 瑞雲庵 湖月堂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서상면 서상옥산길 88-464, 서운암 입구

    조성시기 : 조선후기

 

함양 도솔암 목조관음보살좌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4(지정일 )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삼정리 954번지 도솔암 법당

    조성시기 : 조선 숙종 33(1707)

 

도솔암은 청매 인오(靑梅印悟, 1548~1623)가 수행하던 유서 깊은 사찰로, 1987년 해인사 혜암스님이 중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사찰측의 전언에 따르면, 도솔암 목조관음보살좌상은 조계종 종정을 역임한 혜암스님의 원불(願佛)로 모셨던 것이나, 지금의 도솔암이 개창되면서 법당의 주불로 모신 것이라 한다.

목조관음보살좌상은 보관 뒷면에 약 10가량 수리한 것을 제외하면,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이 보살상의 원 봉안처는 알 수 없다. 그러나 불상의 복장에서 발견된 조성 발원문을 통해 보면, 1707(숙종 33)에 진열(進悅)을 비롯하여 계초(戒椘), 신연(信衍), 태응(太應), 태원(太元), 청휘(淸輝) 6인의 조각승이 참여하여 만든 관음보살상임을 알 수 있다.

 

함양 대대리 마애여래입상(咸陽 大垈里 磨崖如來立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33(지정일 1997.01.30)

    소재지 : 경남 함양군 안의면 대대리 산30-1

    조성시기 : 고려

 

안의면 삼산마을 뒷산 8부 능선에 위치한 자연암반에 음각해서 선조한 여래입상이다. 주변에 폐사지가 있고 기과편이 산재하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암자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여래입상의 높이 6m정도이고, 폭은 2.5m정도이며, 방형기단위에 앙련좌와 통견의 가사가 희미하지만 남아있다. 고졸한 목의 삼도, 뚜렷하지 못한 선각, 어색한 구도 등의 특징은 이 불상이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함양 상련대 목조관음보살좌상(咸陽 上蓮臺 木造觀音菩薩坐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56(지정일 2008.01.10)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백전면 백운산길 3-291, 상련대

    조성시기 : 1612

 

이 보살좌상은 복장기에 의해 1612玄眞, 學文, 明隱, 義能 등의 금어에 의하여 조성되고, 1677년에 중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관음상은 총고 39.5cm 크기의 단아한 목조각상으로 조각기법이 뛰어난 작품이다.

 

함양 엄천사 부도 2

     ♣계화천휘화상탑(桂華天暉和尙塔)-조선후기 (법화사 승탑원에도 있음)

     ♣부도(浮屠)-조선후기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휴천면 남호리 362, 대나무 숲 뒤편

                (함양군 농기계 임대사업소 맞은편)

 

함양 문수사 화앙당탑(咸陽 文殊寺 花陽堂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함양군 휴천면 송전리 509, 문수사 입구 주차장 위쪽

    조성시기 : 조선후기

 

함양 삼불사 목조관음보살좌상(咸陽 三佛寺 木造觀音菩薩坐像)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상 높이 91cm, 무릎 폭 57cm

    소재지 : 경남 함양군 마천면 도마앞길 204, 삼불사 법당

                (마천면 군자리 1108)

    조성시기 : 조선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