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삼성혈 돌하르방
제주특별자치도 민속문화재 제2-6호(지정일 1971.08.26)
소재지 : 제주 제주시 이도2동 983-1, 삼성혈 입구
조성시기 : 조선 영조 30년(1754) 추정
돌하르방이란 말은 근래에 생긴 명칭이고, 원래의 이름은 우석목, 무석목, 벅수머리 등이다. 석상의 형태는 대체로 벙거지형 모자, 부리부리한 왕방울눈, 큼지막한 주먹코, 꼭 다문 입과 두 손은 배 위에 아래로 위엄 있게 얹은 모습을 하고 있다.
이 석상은 성문 앞 좌우에 각각 2기씩 세워져 주민들의 안전과 건강을 지켜 주며 기원하는 수호신적․주술종교적 의미와 도읍지의 위치를 정확히 알려주는 경계 금표적 기능을 하였다.
'석조문화재 > 石人, 石長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화천사 석인상 5구 (0) | 2017.05.21 |
---|---|
제주 KBS 돌하르방 (0) | 2017.05.20 |
합천 사촌리 외사마을 석장승 (0) | 2017.04.23 |
합천 사촌리 가산초교 입구 석장승(1쌍) (0) | 2017.04.12 |
대구 구남중학교 석인 (0) | 2016.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