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조문화재/石碑, 龜趺 133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醴泉 鳴鳳寺 境淸禪院慈寂禪師凌雲塔碑) 보물 제1648호(지정일 2010.02.24) 소재지 : 경북 예천군 효자면 명봉사길 62, 명봉사 경내 제작시기 : 941년 이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境淸禪院慈寂禪師陵雲塔碑)는 통일신라 말기로부터 고려시대 초기까지 활동한 승려 자적선사(慈寂禪師, 882-939년)의 행적을 기록한 석비로 선사의 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고려 태조의 명으로 태조 24년(941)에 세운 탑비(塔碑)이다.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漆谷 僊鳳寺 大覺國師碑) 보물 제251호(지정일 1963.01.21) 소재지 : 경북 칠곡군 북삼읍 승산로 275-209, 비각 조성시기 : 고려시대(1132년) 고려시대 승려 대각국사 의천(義天, 1055-1101)의 탑비이다. 비에는 글씨가 37행에 행마다 71자를 해서로 새겼으며, 제액(題額)은 ‘천태시조대각국사비명(天台始祖大覺國師碑銘)’이다. 자경(字徑) 8.4㎝의 전서(篆書)이다. 비문은 임존(林存)이 짓고, 승(僧) 인(麟)이 쓰고 전액도 하였다. 비문에는 국사가 문종의 넷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인예대후(仁睿大后), 휘는 석구(釋煦), 자는 의천(義天)이라는 것과 송나라 유학에서의 구법활동, 그리고 천태교(天台敎)를 확립하는 과정 및 교화, 그 밖에 국사가 남긴 유교명..

대구 석빙고비

대구 석빙고비 (大邱 石氷庫碑)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경북대학교 월파원 조성시기 : 조선시대 이 비석은 1713년(숙종39)부터 1716년(숙종42) 정월까지 대구판관으로 재임했던 유명악(兪命岳)이 영남감영미(嶺南監瀯米) 800석을 원조 받아 당시 규모가 작았던 석빙고를 9간(間)의 석빙고로 개축(改築)함으로써 부민(府民)들에게 경비부담을 덜어주었던 것을 의미하여 세운 것이다. 원래 이 비석은 예전에 석빙고가 있었던 대구 아미산(蛾尾山 : 지금의 대구시 반월당에서 남문시장 가는 마루턱 우측 언덕)에 세워져 있었는데, 1973년 5월에 현위치인 경북대 월파원으로 이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