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개령암지 마애불상군 3. 남원 개령암지 마애불상군 3. (南原 開嶺庵址 磨崖佛像群 3.) 보물 제1123호(지정일 1992.01.15) 소재지 : 전북 남원시 산내면 덕동리 산215번지 조성시기 : 고려시대 전라북도 석조불상/남원시 2015.09.24
남원 개령암지 마애불상군 2. 남원 개령암지 마애불상군 2. (南原 開嶺庵址 磨崖佛像群 2.) 보물 제1123호(지정일 1992.01.15) 소재지 : 전북 남원시 산내면 덕동리 산215번지 조성시기 : 고려시대 전라북도 석조불상/남원시 2015.09.24
남원 개령암지 마애불상군 1. 남원 개령암지 마애불상군 1. (南原 開嶺庵址 磨崖佛像群 1.) 보물 제1123호(지정일 1992.01.15) 소재지 : 전북 남원시 산내면 덕동리 산215 조성시기 : 고려시대 지리산 고리봉 아래 개령암지 뒤편 암벽에 새겨진 마애불상군으로 크고 작은 12구의 불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가장 거대.. 전라북도 석조불상/남원시 2015.09.24
남원 제바위 마애불좌상 남원 제바위 마애불좌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전북 남원시 주천면 용담리 산46, 제바위 조성시기 : 고려시대 제바위 불상은 주천면 용담리 제바우마을 뒷산에 자리한 마애불좌상으로 마을에서 300미터 거리에 있는 큰 바위 남쪽면의 오른편 윗쪽에 새겨져 있다. 마을주민들은 이 바위를.. 전라북도 석조불상/남원시 2015.09.23
남원 호기리 마애여래좌상 남원 호기리 마애여래좌상 (南原 虎基里 磨崖如來坐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전북 남원시 주천면 호기리 640, 보호각 조성시기 : 고려초기 호기리 마애여래좌상은 남원시내에서 주천방향으로 가다가 19번 국도와 만나기 직전 오른쪽으로 조금 들어가면 보호각 안에 있다. 원래 마애여래.. 전라북도 석조불상/남원시 2015.09.20
남원 덕치리 미륵정사 석조여래입상 남원 덕치리 미륵정사 석조여래입상 (南原 德峙里 彌勒精舍 石造如來立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전북 남원시 주천면 덕치리 110, 미륵정사 경내 조성시기 : 고려시대 전라북도 석조불상/남원시 2015.09.14
남원 향교동 석조약사불좌상 남원 향교동 석조약사불좌상 (南原 鄕校洞 石造藥師佛坐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전북 남원시 향교동 850 (용정안길 106) 조성시기 : 고려시대 전라북도 석조불상/남원시 2015.09.14
남원 신촌동 석조약사불좌상 남원 신촌동 석조약사불좌상 (南原 新村洞 石造藥師佛坐像)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전체높이 130cm, 불상 높이 118cm, 어께 너비 55cm 소재지 : 전북 남원시 신촌동 419, 덤당골 조성시기 : 고려시대 전라북도 석조불상/남원시 2015.09.11
남원 덕음암 석불좌상 남원 덕음암 석불좌상 (南原 德蔭庵 石佛坐像)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65호(지정일 1984.04.01) 소재지 : 전북 남원시 소리길 122-24, 덕음암 미륵전 조성시기 : 조선시대 전라북도 석조불상/남원시 2015.09.09
남원 신계리 부처골 석불입상 남원 신계리 부처골 석불입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전북 남원시 대산면 신계리 864-5 (월계 부처골) 조성시기 : 고려시대(11세기 중반) 남원에서 11세기 중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불입상이 발견되었다. 남원문화원은 남원지역 돌문화를 조사하던 중 남원시 대강면 신계리 월계마.. 전라북도 석조불상/남원시 2015.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