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조대좌 8

남원 만복사지 석조대좌

남원 만복사지 석조대좌 (南原 萬福寺址 石造臺座) 보물 제31호(지정일 : 1963.01.21) 소재지 : 전북 남원시 왕정동 494-11, 만복사지 조성시기 : 고려시대(11세기) 이 석조대좌는 거대한 하나의 돌로 상·중·하대를 조각하였는데, 육각형으로 조각한 것이 특이하여 주목된다. 하대석에는 각 측면에 안상(眼象)을 새기고, 그 안에 꽃을 장식했으며, 윗면에는 연꽃을 새겨 장식하였다. 중대석은 높이가 낮으며 짧은 기둥을 본떠 새겼다. 상대석은 중대석보다 넓으며 평평한 윗면 중앙에는 불상을 조성하여 끼웠던 것으로 보이는 네모진 구멍이 뚫려 있다. 둘레에 연꽃이 새겨졌던 부분은 주변 전체가 파손되었다. 이 석조대좌는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8각형에서 벗어난 6각형이며, 안상 안에 꽃을 장식한 것은 고려..

합천 죽죽리사지 석조대좌

합천 죽죽리사지 석조대좌 (陜川 竹竹里寺址 石造臺座)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35 국립진주박물관 제작시기 : 통일신라 말기-고려 초기 죽죽리사지는 합천군 봉산면 죽죽리에 있는 절터로 통일신라 말기-고려 초기에 걸쳐 건립된 사찰로 추정된다. 석조대좌는 상대석, 중대석, 하대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중대석은 출토되지 않았다고 한다. 상대석은 측면에 16엽의 목판연화문이 조각되어 있으며, 윗면에는 넓고 낮은 단과 광배를 꽂았던 구멍이 있다. 중대석은 박물관에서 복원할 때 경주 삼릉계 석조약사여래좌상(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것을 모방․보완하였다. 하대석은 한 변이 60㎝인 8각형의 지대석 위에 끝이 크게 반전된 복련을 조각하였는데, 두 개의 돌로 구성되어 있다. 지대석은 각 면에 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