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박물관 금동관음보살좌상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57호(지정일 2015.07.15)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박물관
조성시기 : 고려 후기
이 보살좌상은 신체에 비해 머리는 큰 편이며, 어깨와 무릎은 넓어 비교적 안정적인 신체비례를 가지고 있다. 상을 살펴보면 方形의 얼굴에 양측으로 치켜 올린 눈, 뾰족하고 날렵한 코, 작고 얇은 입술 모양 등의 요소에서 이국적인 느낌을 주며,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유행한 불상 특징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특히 원반형 귀걸이, 臺座 표현, 이국적인 얼굴 모습 등은 元나라 때의 불상 특징과 관련된 새로운 요소이다. 그리고 손에 든 정병은 1476년에 제작된 강진 무위사 목조관음보살좌상과 유사한데, 고려 후기 보살상 가운데는 매우 드문 사례이다.
전반적으로 관음보살좌상은 안정적인 신체비례에 화려한 영락장식이 돋보이는 상으로 이국적인 얼굴표현과 귀걸이, 대좌 등 원나라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고려 후기 작품이다.
'금동불•철불 > 금동불•청동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릉 대관령박물관 금동여래입상 (0) | 2019.12.23 |
---|---|
경성대 박물관 금동여래입상 (0) | 2019.07.07 |
합천 백암리사지 금동여래입상(頭缺) (0) | 2018.12.17 |
계명대 청동사리함 판불 (0) | 2017.09.16 |
계명대 금동여래입상 9. (0) | 2017.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