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조문화재/佛敎 石造文化財 資料

부산광역시 불교석조문화재

정태욱 2020. 1. 27. 06:58



부산광역시 불교석조문화재

 

부산 옥련선원 마애지장보살좌상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7(지정일 2001.05.16)

    크기 : 전체높이 96cm, 최대폭 90cm

    소재지 : 부산시 수영구 민락동 327-2 옥련선원 경내

    조성시기 : 조선시대

 

부산 백련사 석조여래좌상(白蓮寺 石造如來坐像)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61(지정일 2012.05.17)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이기대공원로 85-74, 백련사

    조성시기 : 대한제국시대(1906)

    

백련사 석조여래좌상은 축원문에 적힌 바와 같이 1906년에 조성된 여래상으로 축원문을 비롯해 황초폭자에 싸인 후령통 등 간략하지만 기본적인 복장납입물의 내용을 갖추고 있다. 즉 양식이나 법식이 전통성을 계승하면서도 시대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특히 이 불상의 조성자는 혜산당(蕙山堂) 또는 고산당(古山堂)으로 불리는 축연(竺衍)이다. 축연은 금강산에서 불화 수업을 한 후 전국적으로 활동을 하였는데, 경상도 지역에서는 1885년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삼신도를 그렸으며, 금호 약효와 함께 범어사 나한전 영산회상도와 괘불도 제작했다. 1920년대에는 양산 통도사 응진전 십육나한도와 신중도 등을 제작하는 등 활동 범위가 매우 넓은 불화승으로 19세기 후반~20세기 전반까지 당대의 불화승들과 함께 활약하였다.

 

부산 국청사 대웅전 석조삼존불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본존불 높이 66cm, 무릎폭 44.5cm,

             좌협시보살 높이 41cm, 무릎폭 34cm

             우협시보살 높이 615cm, 무릎폭 37.3cm

    소재지 : 부산 금정구 금성동 397 (북문로 42)

    조성시기 : 조선 후기

 

부산 범어사 삼층석탑 (釜山 梵魚寺 三層石塔)

    보물 제250(지정일 1963.01.21)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범어사

    조성시기 : 신라 흥덕왕대(興德王代)

 

부산 범어사 당간지주(梵魚寺 幢竿支柱)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5(지정일 1972.06.26)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범어사 경내

    제작시기 : 고려시대

 

부산 범어사 괘불대 1(1)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범어사

    제작시기 : 조선시대

 

부산 범어사 괘불대 1(2)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범어사 경내

    제작시기 : 조선시대

 

부산 범어사 노주석 1(釜山 梵魚寺 露柱石)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범어사

    제작시기 : 조선시대


부산 범어사 석등(釜山 梵魚寺 石燈)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지정일 1972.06.26)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범어사 경내

    제작시기 : 통일신라(9세기 경)

 

부산 범어사 법수석 (釜山 梵魚寺 法首石)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범어사 경내

    조성시기 :

 

부산 범어사 나한전 석조석가모니삼존불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본존 높이 81.5cm, 무릎폭 62.5cm

             우 제화갈라 높이 72.5cm, 무릎폭 48cm

             좌 미륵보살 높이 69cm, 무릎폭 48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범어사

    조성시기 : 조선 후기

 

범어사 나한전 석조 아난존자 가습존자 및 나한상 일체(조선 후기)

 

부산 범어사 성보박물관 석조나한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높이 33.5cm, 무릎폭 23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범어사

    조성시기 : 조선 후기

 

부산 범어사 미륵전 석조연화대좌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3

    크기 : 높이 35cm, 무릎폭 30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범어사

    조성시기 : 통일신라

 

범어사 경내 수조 6(조선시대)

 

부산 범어사 승탑원 승탑 25, 탑비 2, 비좌 1, 비수 1,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범어사 승탑원

    조성시기 : 조선시대

 

부산 범어사 하마비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범어사 경내

    조성시기 : 조선시대

 

부산 범어사 미륵암 미륵전 석조보살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전체높이 33.5cm, 무릎폭 28cm

    소재지 : 부산 금정구 금성동 113, 범어사 미륵암

    조성시기 : 조선후기

 

부산 범어사 대성암 각애선림 석조보살반가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높이 51cm, 무릎폭 22.5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범어사 대성암

    조성시기 : 조선 후기

 

부산 범어사 계명암 보덕굴 석조보살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전체높이 48.2cm, 무릎폭 33.2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546, 범어사 계명암 

    조성시기 : 조선후기

 

부산 범어사 내원암 대자비전 석조보살좌상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8(지정일 2008.12.16)

    크기 : 전체높이 42.4cm, 무릎폭 29.2cm

    소재지 : 부산 금정구 청룡동 546, 범어사 내원암

    조성시기 : 조선후기

 

부산 범어사 사자암 관음전 석조보살좌상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39(지정일 2014.03.19)

    크기 : 전체높이 63cm, 무릎폭 43.2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상마126 (청룡동) 사자암

    조성시기 : 조선후기

 

부산 운수사 대웅전 석조삼존불좌상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2

    크기 : 본존불 높이 86.5cm, 무릎폭 74cm,

             좌협시보살 높이 79cm, 무릎폭 69cm

             우협시보살 높이 80cm, 무릎폭 66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 산 5, 운수사

    조성시기 : 조선후기

 

부산 기장 장안사 응진전 석조석가삼존 십육나한상 [23]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5(지정일 2008. 04.02)

    소재지 : 부산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598번지 장안사

    조성시기 : 조선시대(1684)

 

부산 기장 장안사 명부전 석조지장 시왕상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6(2008. 04.02)

    소재지 : 부산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598번지 장안사

    조성시기 : 조선시대(1684)

 

부산 기장 장안사 대웅전 석조삼세불좌상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4

    소재지 : 부산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598, 장안사

    조성시기 : 조선시대(1659)

 

부산 기장 장안사 부도전 석불좌상(頭缺)

    비지정 문화재

    크기 : 불신 86cm, 무릎폭 64cm

    소재지 : 부산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598, 장안사

    조성시기 : 미상

 

동아대박물관 석조관음보살좌상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9(지정일 2012.10.30.)

    크기 : 불상높이 37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조성시기 : 고려 말-조선 초

 

동아대박물관 석조여래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전체높이 77.5cm, 불상높이 51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조성시기 : 고려시대

 

부산 승학사 석조여래좌상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68(지정일 2013.05.08.)

    소재지 :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감대로 49번길 54-36 승학사

    조성시기 : 조선 후기(18세기)

 

부산 약수암 석인상(藥水庵 石人像)

    비지정 문화재

    크기 : 불상높이 62.5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2동 산8, 약수암 경내

    조성시기 : 조선시대 후기

 

부산 약수암 대웅전 석조약사불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전체높이 70.5cm, 무릎폭 54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사상구 덕포2동 산8, 약수암

    조성시기 : 미상

 

부산 불곡암 석불좌상(佛谷庵 石佛坐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123 051-624-7644

    조성시기 : 조선시대

 

1850년경 현 부산문화회관 자리인 논밭사이 물길에서 석불좌상이 발견되었다고 하며 현재 불곡암에 주존불로 봉안되어져 있다.

 

부산 해명사 목조보살좌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시 동구 초량635-2 해명사 051-468-3436

    조성시기 : 조선시대 후기

 

부산 선광사 석조약사불좌상(仙光寺 石造藥師佛坐像)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전체높이 56cm, 무릎폭 43.5cm

    소재지 : 부산시 사상구 덕포1동 산8-32, 선광사 관음전   

    조성시기 : 고려시대

 

부산 선광사 석조불좌상(仙光寺 石佛坐像)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전체높이 58.5cm, 무릎폭 45cm

    소재지 : 부산시 사상구 덕포1동 산8-32 선광사 경내

    조성시기 : 미상

 

부산 해광사 소조삼존불좌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시 서구 암남동 산 4-1번지 051-253-7286

    조성시기 : 조선시대 말기

 

부산 해광사 석조나한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전체높이 49cm, 무릎폭 33cm

    소재지 : 부산시 서구 암남동 산 4-1번지

    조성시기 : 근대

 

부산 아란야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阿蘭若寺 石造毘盧舍那佛坐像)

    비지정 문화재

    크기 : 불신 35cm, 불두 13.5cm, 어께폭 16.5cm, 무릎폭 26cm

    소재지 : 부산시 동구 수정동 410-42

    조성시기 : 고려시대 추정

 

부산 대원사 석조나한좌상(大源寺 石造羅漢坐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시 서구 남부민1동 산4-20

    조성시기 : 근대

 

동주대학교 부속박물관 석조여래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전체높이 88.5cm, 어께 폭 36cm, 무릎폭 57cm, 불두 22.5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 동주대학교 부속박물관

    조성시기 : 조선시대 후기

 

부산 수정산 선각마애불좌상(民佛)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시 동구 수정동 아란야사 뒤편 수정산 계곡 350m지점

    조성시기 : 조선 말 근대

 

부산 금수사 삼성전 석불좌상 2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석불 1. 높이 55.5cm, 무릎폭 43.5cm

             석불 2. 높이 56cm, 무릎폭 36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동구 망양로 533-1 금수사

    조성시기 : 조선 말기-근대

 

부산 마하사 대웅전 석조석가모니삼존불좌상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8

    크기 : 본존불 높이 52cm, 무릎폭 44.4cm,

             좌협시보살 높이 47.7cm, 무릎폭 34cm

             우협시보살 높이 39.5cm, 무릎폭 31.5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72039번지 051-852-2436

    조성시기 : 조선후기

 

부산 마하사 지장전 석조지장보살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전체높이 75cm, 무릎폭 64.5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72039, 마하사 지장전

    조성시기 : 조선후기

 

부산 마하사 응진전 석조나한상 12

    부산시 문화재자료 제20

    소재지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72039, 마하사 응진전

    조성시기 : 조선후기

 

부산 기장 척판암 석조여래좌상(機張 擲板庵 石造如來坐像)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1(지정일 2008. 04.02)

    크기 : 전체높이 37.5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하장안길 11-4, 척판암

    조성시기 : 조선시대 후기

 

부산 취정사 석조여래좌상(鷲井寺 石造如來坐像)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62(지정일 2012.10.30)

    소재지 : 부산 기장군 일광면 상곡길 55 취정사

    조성시기 : 조선시대(18세기 전반)

 

부산 정수암 대웅전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본존불 높이 70cm, 무릎폭 55cm,

             좌 관세음보살 높이 57.7cm, 무릎폭 40.2cm

             우 대세지보살 높이 54cm, 무릎폭 44.5cm

    소재지 : 부산 금정구 금성동 6 (북문로 160)

    조성시기 : 조선후기

 

부산 청량사 극락보전 석조아미타불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전체높이 54cm, 무릎폭 36cm

    소재지 : 부산 강서구 제도로 29, 청량사

    조성시기 : 조선 말-근대

 

부산 안적사 대웅전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본존불 높이 83cm, 무릎폭 52cm,

             좌 관세음보살 높이 72cm, 무릎폭 44.8cm

             우 대세지보살 높이 72cm, 무릎폭 44cm

    소재지 : 부산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길 461-16, 안적사 대웅전

    조성시기 : 順治 11(1654)

 

부산 기장 안적사 승탑(釜山 機長 安寂寺 僧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시 기장군 기장읍 내리길 461-16, 안적사 경내

    조성시기 : 조선후기

 

부산 기장 선여사지 승탑(釜山 機長 船餘寺址 僧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임기리 689-2

    조성시기 : 조선 후기

 

부산 옥정사 대웅전 석조불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전체높이 42.5cm, 무릎폭 31.5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원리

    조성시기 : 조선 말-근대

 

부산 내원정사 석조독성상(釜山 內院精舍 石造獨聖像)

    비지정 문화재

    크기 : 높이 28cm, 무릎폭 20cm

    소재지 : 부산시 서구 엄광산로 40번길 80, 내원정사 삼성각

    조성시기 : 조선 후기

 

부산 내원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釜山 內院精舍 木造觀音菩薩坐像)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7(지정일 2001.10.25)

    크기 : 불상높이 110cm, 무릎너비 56cm

    소재지 : 부산 서구 엄광산로 40번길 80, 내원정사 육화료

    조성시기 : 조선 영조 8(1730)

 

이 보살상은 석당 정재환(동아대학교 설립자)님이 소장하다 死後에 내원정사로 옮겨진 상이다.

보살상의 복장구에서 발견된 조성기에 의하면 존명은 관음보살로 고성 운흥사에서 擁正 8(영조 8, 1730)에 당대 최고 佛畵僧이신 의겸(義謙 ; 숙종조부터 영조조(1710년경-1760년경)까지 지리산 지역을 중심으로 경상도와 전라도 일대에서 불화를 그린 승려)이 조성하여 관음전에 모셨다고 한다.

 

불상 안에서 발견된 묵서(墨書)를 통해 조선 영조 6(1730)이라는 조성연대를 알 수 있어 같은 시기 불상제작의 기준이 되는 작품이다.

다소 경직된 신체 측면과 고개를 아래로 숙인 자세, 치마와 같은 상의(裳衣)의 단처리 등에서 조선 후기 양식을 느낄 수 있다. 전반적으로 안정되고 균형잡힌 불상의 몸체와 유연한 옷주름의 흐름, 그리고 온화한 얼굴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특히 한쪽 무릎을 세우고 앉은 윤왕좌(輪王座)의 자세를 취하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당대 최고의 화승인 의겸(義謙)이 만든 보살상으로 조성연대가 뚜렷하고, 많이 남아있지 않은 목조관음보살좌상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높은 작품으로 평가된다.


부산 내원정사 만불전 목조무독귀왕입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시 서구 엄광산로 40번길 80, 내원정사

    조성시기 : 미상

 

부산박물관 석조여래입상(1)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전체높이 214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고려시대 (10세기)

 

부산박물관 석조여래입상(2)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통일신라시대 (9세기)

 

부산박물관 석조여래좌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박물관

    조성시기 : 고려시대

 

부산박물관 석조삼존불입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박물관

    조성시기 : 조선시대(14-15세기)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납석사리호   

    국보 제233-2(지정일 1986.10.15)

    크기 : 높이 14.5, 입지름 9, 밑지름 8.4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박물관

    조성시기 : 永泰 二年(766)

 

경남 산청군 상장면 보선암지에 있는 석불대좌 중대석(中臺石)에서 발견된 뚜껑이 있는 항아리이다.

거무스름한 곱돌[蠟石]로 만들었으며, 항아리의 표면에는 비로자나불상조성기(毘盧遮那佛像造成記)와 함께 영태(永泰) 2, 766(혜공왕 2)이라는 연기가 쓰여 있어서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233-1, 내원사 소장)의 제작 연대를 뒷받침하는 귀중한 자료이다. 이 조상기(造像記)는 모두 136자의 이두 문자로 쓰여 있으며, 내용은 죽은 자의 혼령을 위로하고 불상을 조성하는 공양승(供養僧)과 그에 동조하여 불덕을 희구하는 중생들의 업멸(業滅)을 비는 것으로 일종의 서원문(誓願文)이다. 글자체는 해서(楷書)이며 초서(草書)로 쓴 것도 섞여 있다.

 

부산박물관 석조대좌석불 편()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고려시대

 

부산 만덕사지 삼층석탑(釜山 萬德寺址 三層石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고려시대 (10세기)

 

부산박물관 오층석탑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조선 말기

 

부산박물관 석탑재(옥개석) 3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부산박물관 승탑(釜山博物館 僧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948-1, 부산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조선시대

 

부산박물관 문석인 및 석비, 기타 석조물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동아대박물관 석조관음보살좌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동아대학교 박물관

    조성시기 : 고려시대

 

동아대박물관 석조약사여래좌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동아대학교 박물관

    조성시기 : 고려 전기

 

합천 상천리사지 삼층석탑(陜川 上川里寺址 三層石塔)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지정일 1972.06.26)

    크기 : 전체높이 270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동아대학교 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고려 말기-조선 초기

 

대구 동성로 오층석탑(大邱 東城路 五層石塔)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전체높이 4.05m

    소재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동아대학교 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고려시대

 

김해 감로사지 석탑재(金海 甘露寺址 石塔材)

    비지정 문화재

    크기 : 현재높이 156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동아대학교 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통일신라

 

김해 감로사지 녹파당대사효화탑(金海 甘露寺址 綠波堂大師曉和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동아대학교 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조선시대

 

김해 감로사지 귀부(金海 甘露寺址 龜趺)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동아대학교 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고려시대

 

부산 아미동 오층석탑(釜山 峨嵋洞 五層石塔)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전체높이 328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동아대학교 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근대

 

청도 대적사 약서당종숙대사탑(淸道 大寂寺 藥西堂宗淑大師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동아대학교 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乾隆 46(1781)

 

양산 입석리 승탑(梁山 立石里 僧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동아대학교 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조선후기

 

하동 범왕리 승탑(河東 凡旺里 僧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동아대학교 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조선시대

 

동아대학교 박물관 기타 석조문화재

     ♣연화대석 및 석조문화재

     ♣문인석 20,

     ♣석사자 2...

    소재지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동아대학교 박물관(야외)

 

부산대학교 박물관 석조문화재

    소재지 : 부산시 금정구 장전동 산30

 반고사지 석불좌상(盤皐寺址 石佛坐像) - 박물관 별관

    비지정 문화재

    원소재지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천전리 반고사지

    조성시기 : 통일신라 말-고려 초

  ‣울주 대곡사지 오층석탑(蔚州 大谷寺址 五層石塔) - 박물관 별관

    부산유형문화재 제9(지정일 1972.06.26)

    크기 : 높이 3.2m

    원소재지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삼정리 대곡사지

    조성시기 : 고려시대

  ‣문인석 4구 및 석탑부재 - 부산대박물관 별관 뜰

  ‣금동불 4- 박물관 전시실

 

경성대학교 오층석탑(1)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09, 경성대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고려시대

 

경성대학교 박물관 석조여래좌상(慶星大學校 博物館 石造如來坐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09, 경성대학교 박물관

    조성시기 : 고려시대

 

경성대학교 박물관 금동여래입상(慶星大學校 博物館 金銅如來立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09, 경성대학교 박물관

    조성시기 : 통일신라시대

 

경성대학교 오층석탑(2)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09, 경성대박물관 야외전시장

    조성시기 :

 

경성대학교 박물관 석탑재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09, 경성대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경성대학교 박물관 석조방형연화대석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09, 경성대박물관 (야외)

    조성시기 :

 

경성대학교 박물관 석등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09, 경성대박물관 (야외)

    조성시기 :

 

경성대학교 박물관 석조물(수조, 맷돌...)

 

부산 연등사 오층석탑(釜山 燃燈寺 五層石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시 동구 좌천동 839-3 051-632-0546

    조성시기 : 고려시대 추정

 

부산 고려 오층석탑 (釜山 高麗 五層石塔)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3(지정일 1972.06.26)

    소재지 : 부산광역시 동래구 차밭골로 50번길 5, 民家庭園

    조성시기 : 고려시대

 

부산 원효암 동편 삼층석탑 (釜山 元曉庵 東便 三層石塔)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지정일 1972.06.26)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524, 원효암

    조성시기 : 통일신라

 

원효암 서편 삼층석탑 (元曉庵 西便 三層石塔)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2(지정일 1972.06.26)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524, 원효암

    조성시기 : 통일신라

 

부산 범방동 삼층석탑 (凡方洞 三層石塔)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3(지정일 1989.03.10)

    소재지 : 부산광역시 강서구 범방동 1345

    조성시기 : 고려시대

 

부산 선암사 삼층석탑재(仙巖寺 三層石塔材)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3(지정일 2010.05.24)

    소재지 : 부산시 부산진구 부암3628번지 선암사

    조성시기 : 고려 후기

 

부산 선암사 승탑원 승탑 5

   ♣逸名僧塔 - 朝鮮末期

   ♣氏大覺月舍利塔, 黃氏譜明華舍利塔, 裵慧潭舍利塔 - 近代

   ♣東隱堂舍利塔 - 1921

   ♣扶宗樹敎禪敎兩宗大敎師東隱堂元奎放光舍利塔碑 - 1921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시 부산진구 부암3628, 선암사 승탑원

 

부산 만덕사지 당간지주 (萬德寺址 幢竿支株)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지정일 1972.06.26)

    소재지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 784번지

    제작시기 : 고려 전기

 

부산 만덕사지 미완성 석조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

    제작시기 : 미상

 

부산 온천2동 선각마애여래좌상(釜山 溫泉2洞 線刻磨崖如來坐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2동 산106

    조성시기 : 근대

 

효자암에서 미륵암 방향으로 100m 우측 큰 바위에 자리한 불상이다.

 

부산 복수암 선각마애여래좌상(釜山 福壽庵 線刻磨崖如來坐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2동 구만덕로 257-38, 복수암

    조성시기 : 근대

 

부산 복수암 마애여래좌상(釜山 福壽庵 磨崖如來坐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2동 구만덕로 257-38, 복수암

    조성시기 : 근대

 

부산 만덕동 마애여래좌상(釜山 萬德洞 線刻磨崖如來坐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 산44-1

    조성시기 :

 

상학초등학교 정문 우측 등산로를 따라 올라가다 보면 계곡 우측으로 난 나무다리 좌측 바위군에 있음.

 

부산박물관 금동관음보살좌상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57(지정일 2015.07.15)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박물관

    조성시기 : 고려 후기

 

이 보살좌상은 신체에 비해 머리는 큰 편이며, 어깨와 무릎은 넓어 비교적 안정적인 신체비례를 가지고 있다. 상을 살펴보면 方形의 얼굴에 양측으로 치켜 올린 눈, 뾰족하고 날렵한 코, 작고 얇은 입술 모양 등의 요소에서 이국적인 느낌을 주며,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유행한 불상 특징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특히 원반형 귀걸이, 臺座 표현, 이국적인 얼굴 모습 등은 나라 때의 불상 특징과 관련된 새로운 요소이다. 그리고 손에 든 정병은 1476년에 제작된 강진 무위사 목조관음보살좌상과 유사한데, 고려 후기 보살상 가운데는 매우 드문 사례이다 

전반적으로 관음보살좌상은 안정적인 신체비례에 화려한 영락장식이 돋보이는 상으로 이국적인 얼굴표현과 귀걸이, 대좌 등 원나라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고려 후기 작품이다. 특히 정병 형태는 무위사 목조관음보살상 정병보다 선행하는 것으로 주목되는 등 고려 후기 불상 양식 연구에 좋은 자료일 뿐 만 아니라 역사적, 예술적인 가치도 높은 작품이다.

 

부산박물관 목조지장보살좌상(釜山博物館 木造地藏菩薩坐像)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58(지정일 2015.07.15)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박물관

    조성시기 : 조선 전기

 

목조지장보살좌상은 크게 몸통과 다리로 구분되며, 뒤통수, 底 部의 밑판도 따로 만들어 接木造 기법으로 제작되었다. 僧形의 민머리에 왼손에는 둥근 보주를 받쳐 든 모습으로 결가부좌하였고, 앞으로 고개를 쑥 내민 자세인데, 상반신이 길쭉하고 어깨와 무릎이 넓어 신체가 장대하면서도 당당하고 균형미와 안정감이 돋보인다
긴 상반신과 고개를 앞으로 내민 자세, 환미감이 있는 방형의 얼굴, 두툼한 눈두덩이, 반달형 눈으로 미소 짓는 표정, 변형 통견식 着衣 등이 특징이며, 특히 왼쪽 팔을 두르고 길게 늘어뜨린 편삼, 다리 선에서 무릎까지 그리고 발목을 휘감아 내려와 다리 사이에 펼쳐진 옷 주름은 넓고 간결하지만 자연스럽 고 힘이 느껴지는 조선 전기 불상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준다. 임진왜란 이전(16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지장보살좌상은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지장보살상들이 반가좌 자세를 취하고 있는데 비해 결가부좌 자세를 취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규격도 크고 조형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뛰어나 조선 전기 불상의 도상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적 가치가 있을 뿐 아니라 예술적, 역사적, 학술적으로 가치가 높은 작품이다.

 

부산박물관 목조여래좌상(釜山博物館 木造如來坐像)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59(지정일 2015.07.15)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박물관

    조성시기 : 조선 중기 (17세기 전반 경)

 

목조여래좌상은 머리를 아래로 숙이고 결가부좌한 자세에 오른손은 손바닥을 바깥으로 하여 어깨까지 들고, 왼손은 다리 위에 살짝 든 상태에서 엄지와 중지를 맞댄 說法印을 하고 있다. 아래를 내려다보는듯한 가는 눈, 부드러운 눈썹 선에서 이어지는 쭉 뻗은 코, 입술의 양끝이 올라가 얕은 미소를 보이는 얼굴은 부드럽고 차분한 인상을 준다. 특히 방형의 얼굴은 턱을 둥글게 깎았으며, 양 볼이 부푼 듯 볼록하고 측면이 납작한 것이 특징인데, 이는 17세기 최고의 조각승으로 알려져 있는 玄眞의 작품들에서 보이는 특징과 유사하다
이 작품은 차분하면서도 근엄한 인상, 긴 상반신에 낮은 무릎과 적당한 다리 폭 등 17세기 전반 불상의 특징을 보인다. 특히 얼굴 표정, 왼팔 측면과 다리 위의 옷 주름 처리 등에서 현진의 불상 양식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어 현진 또는 현진 계열 조각승에 의해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불교조각의 흐름을 연구하는데 자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보존 상태도 좋은 편이며, 시대적 양식을 반영한 조형성을 지니고 있어 예술적 가치도 높은 작품이다.

 

부산박물관 목조여래좌상(釜山博物館 木造如來坐像)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0(지정일 2015.07.15)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박물관

    조성시기 : 조선 후기

 

이 불상은 연화좌 위에 결가부좌하고 앉아 양손을 다리 위에서 살짝 들어 아미타수인(中品下生)을 결하고 있다. 불두에서 살이 오른 방형의 얼굴은 오뚝한 코가 큼직하며, 고개를 숙이고서 살짝 감은 듯 한 수평으로 표현한 작은 눈, 미소를 띠는 입술 표현 등의 요소에서 온화하고 부드러운 인상을 준다.

불신을 보면 두꺼운 측면의 신체, 큼직한 코와 온화한 인상의 얼굴, 오른쪽 어깨에 보이는 물방울 같은 옷자락, 그리고 대좌와 일체로 조각된 하반신의 옷자락이 대좌를 덮은 裳懸座 형식 등은 주목할 만한 특징으로 18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조각승인 상정(尙淨)의 작품들과 같은 계열을 따르고 있어 주목된다.
전반적으로 이 여래좌상은 상정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작품으로서 1755년 상정이 제작한 양주 회암사 목조여래좌상(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6)에 비해 얼굴과 옷 주름의 표현 등이 당당하고 힘이 있어 이들 불상보다 이전에 조성되었을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따라서 이 불상은 조선 후기 불교조각사 연구에서 양식의 흐름과 조각승의 계보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불상으로 여겨진다.

 

부산박물관 목조아미타여래좌상(釜山博物館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1(지정일 2015.07.15)

    소재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박물관

    조성시기 : 조선 후기 (18세기 전반 경)

 

이 불상은 결가부좌한 자세에 양 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대어 다리 위에서 살짝 들고 있는 아미타인을 하고 있다.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큰 편이며, 방형의 상반신과 다리 폭이 이루는 신체비례가 좋아 안정감이 있어 보인다. 작은 눈은 수평으로 가늘며, 뭉툭한 코와 입술에 드러나는 얕은 미소는 온화하고 부드러운 인상을 준다.

 

얼굴에 표현된 양감과 부드럽고 온화한 인상, 방형의 상반신과 하반신이 이루는 적당한 신체비례, 그리고 다리 위에 늘어진 옷 주름 등이 특징으로, 18세기를 전후하여 활동한 조각승 進悅의 불상들과 얼굴이나 세부적인 특징이 매우 흡사하여 18세기 전반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예술적, 역사적, 학술적으로도 가치가 높은 작품으로, 18세기 전반기의 불교조각 양식 흐름과 조각승의 계보 등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부산과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한 진열의 작품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

 

부산 옥성사 오층석탑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 동구 성북로 27번길 8, 옥성사

    조성시기 : 근대

 

반여동 인지사 명부전 석불좌상(지장보살?)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0(지정일 2009. 12.07)

    소재지 : 부산 해운대구 제반로 282번길 113, 인지사

    조성시기 : 조선시대 전기

 

반여동 인지사 감로당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전체높이 78cm, 무릎폭 61cm

    소재지 : 부산 해운대구 제반로 282번길 113, 인지사

    조성시기 : 통일신라

 

부산 대원사 대웅전 석조아미타불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높이 47.5cm, 무릎폭 35.5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공원로 92 (가야동 471-20)

    조성시기 : 근대

 

부산 대원사 대웅전 석조지장보살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높이 43cm, 무릎폭 32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공원로 92 (가야동 471-20)

    조성시기 : 근대

 

부산 복천사 주지실 석조석가여래좌상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9(지정일 2008.12.16)

    크기 : 상 높이 52cm, 무릎 폭 36cm, 대좌 21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3가 산 6번지 복천사

    조성시기 : 1922

 

원래 복천사에는 석가여래좌상, 문수보살, 보현보살, 관음보살, 지장보살상 등 5존상(五尊像)이 있었으나, 1970년대 초에 관음, 지장, 문수보살상을 도난당해 지금은 석가여래좌상, 보현보살상과 문수보살상의 대좌였던 사자좌만 남아있다 

석가여래좌상과 보현보살좌상의 바닥에는 새겨진 명문을 통해서 이 상들이 1922년에 완호비구에 의해 조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완호스님은 1921년 복천사의 주지로 부임하여 전각을 건립하고 그 안에 봉안될 불상과 불화를 조성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산 복천사 주지실 석조보현보살좌상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9(지정일 2008.12.16)

    크기 : 상높이 38cm, 무릎폭 20cm, 대좌 19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3가 산 6번지 복천사

    조성시기 : 1922

 

부산 복천사 주지실 석불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상높이 20cm, 무릎폭 13.5cm

    소재지 :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3가 산 6번지 복천사

    조성시기 : 근대

 

부산 금정산 마애부도 3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조성시기 : 조선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