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조문화재/佛敎 石造文化財 資料

경남 남해군 불교석조문화재

정태욱 2020. 2. 3. 19:58



경남 남해군 불교석조문화재

 

남해 보리암 삼층석탑(南海 菩提庵 三層石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74(지정일 1974.02.16)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상주면 보리암로 665, 보리암

    조성시기 : 고려시대

 

보리암이라는 암자와 가까운 남해금산 꼭대기에 자리하고 있어, ‘보리암전삼층석탑이라 불리고 있는 삼층석탑이다.

 

이 석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으로 이루어진 탑신(塔身)을 놓고 상륜부장식인 보주를 얹은 일반적인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의 각 면에는 2개씩의 안상(眼象)을 얕게 조각하였다. 위층 기단은 아래층에 비해 폭이 크게 줄었다. 탑신석의 각 면에는 모서리마다 우주(隅柱)를 새겼다. 옥개석은 밑면의 층급받침은 3단이고, 처마는 직선을 유지하다 네 귀퉁이로 갈수록 두툼해지면서 위로 솟았다. 탑의 상륜부에는 보주(寶珠)가 올려져있다.

 

설화에 의하면 김수로왕의 왕비인 허태후가 인도에서 가져온 사리를 원효대사가 이곳에 모셔 두었다고 전해오지만, 두꺼운 옥개석과 3단의 층급받침 등의 특장을 보여주므로 고려시대에 조성된 탑으로 추정된다.

 

남해 보리암 석등부재((南海 菩提庵 石燈部材)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상주면 보리암로 665, 보리암

    조성시기 : 고려시대(추정)

 

남해 보리암 승탑(南海 菩提庵 僧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상주면 양아리 산1

    조성시기 : 조선 후기

 

남해 용문사 석조보살좌상(南海 龍門寺 石造菩薩坐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8(지정일 1974.12.28)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길 166-11, 용문사 용화전

    조성시기 : 고려시대

 

남해 용문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46(지정일 2006.11.02)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길 166-11, 용문사 대웅전

    조성시기 : 조선 후기

 

남해 용문사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제 존상 일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26(지정일 2005.07.21)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길 166-11, 용문사 명부전

    조성시기 : 1678

 

남해 용문사 명부전 명부시왕 및 존상 일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26(지정일 2005.07.21)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길 166-11, 용문사 명부전

    조성시기 : 1678

 

남해 용문사 석조석가삼존불좌상(南海 龍門寺 石造釋迦三尊佛坐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길 166-11, 용문사 영산전

    조성시기 : 조선 후기

 

남해 용문사 영산전 석조16나한상 및 제 존상 일체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길 166-11, 용문사 영산전

    조성시기 : 조선 후기

 

남해 용문사 승탑원 승탑 9

     ♣승탑(僧塔)-조선후기

     ♣청하당대사증심탑(靑荷堂大師證心塔)-조선후기

     ♣세염당일행대사탑(洗染堂一行大師塔)-조선후기

     ♣승탑(僧塔)-조선후기

     ♣몽월당한묵대사탑(夢月堂閒大師塔)-조선후기

     ♣송곡당○○대사탑(松谷堂○○大師塔)-조선후기

     ♣승탑(僧塔)-조선후기

     ♣은암당원준지탑(隱岩堂元俊之塔)-조선후기

     ♣취영당초영대사탑(翠影堂草英大師塔)-조선후기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25(지정일 2005.07.21)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길 166-11, 용문사 승탑원

 

 

남해 용문사 괘불대(南海 龍門寺 掛佛臺)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길 166-11, 용문사 용화전

    조성시기 : 조선 후기

 

남해 용문사 노주석(南海 龍門寺 露柱石)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이동면 용문사길 166-11, 용문사 경내

    조성시기 : 조선 후기

 

남해 화방사 석조석가삼존불좌상, 석조십육나한상 및 존상 일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97(지정일 2010.03.11)

    소재지 : 경남 남해군 고현면 화방사길 128-6, 화방사 응진전

    조성시기 : 조선 후기

 

남해 화방사 부도 (南海 花芳寺 浮屠)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07(지정일 2010.10.07)

    소재지 : 경남 남해군 고현면 화방사길 128-6, 화방사 입구

    조성시기 : 조선 후기

 

남해 화방사 괘불대 1(南海 花芳寺 掛佛臺 1)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남해군 고현면 화방사길 128-6, 화방사

    제작시기 : 조선 후기

 

남해 화방사 망운암 석조보살좌상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33(지정일 2003.10.30)

    크기 : 상 높이 41.2cm

    소재지 : 경남 남해군 남해읍 아산리 1413-1, 망운사 관음전

    조성시기 : 조선 후기 (18세기)

 

남해 망운암 석조보살좌상은 현재 망운사(望雲寺) 관음전(觀音殿) 법당에 도금이 된 양호한 상태로 봉안되어 있다.

 

망운암은 고려시대 고찰(古刹)로써 여러 차례 중건·중수되어 왔으며, 남해의 진산인 망운산(望雲山) 정상 아래 위치한 관음기도 도량이다. 여기에 봉안된 이 관음좌상은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8.15 해방을 전후한 시기에 망운암에 왕래가 많았던 지역 고로(古老)들의 구전에 따르면 옛적에 경주 옥돌로 제작된 영험이 높은 부처님이라 전해 왔다는 것이다.

 

머리에 보관을 쓰고, 양쪽 무릎 위에 두손을 각각 나란히 두었으며, 오른쪽 발은 군의 바깥으로 노출된 반가부좌의 보살상이다. 41.2cm 높이의 중소형 불상으로, 대좌를 생략하고는 양호하게 잘남아 있다.

 

보관의 형태, 방형의 얼굴, 의습처리 등 18세기 이후 경남지역 불상에서 볼 수 있는 보편적인 특징을 지닌 작품이다.

 

남해 운대암 세월당탑(南海 雲台庵 洗月堂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창선면 창선로 153번길 240, 운대암 경내

    조성시기 : 조선 후기

 

남해 운대암 석구(南海 雲台庵 石臼)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창선면 창선로 153번길 240, 운대암 경내

    제작시기 : 조선시대

 

남해 다정리 삼층석탑(南海 茶丁里 三層石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73(지정일 1974.02.16)

    크기 : 탑의 높이 1.6m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이동면 다정리 587-1

    조성시기 : 고려시대

 

이 석탑은 지역주민들에게 전해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신라 신문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한 다천사(茶川寺)에 세웠던 탑이라고 한다. 절에 대한 자세한 내력과 역사는 알 수 없지만 다천사가 큰 절인 용문사로 편입될 당시 탑만이 원래의 절터인 이곳에 남게 되었다고 전하며, 탑 뒤편 절터로 추정되는 곳에는 석축이 약간 남아 있다.

 

이 석탑은 원래는 삼층석탑이었으나 지금은 2층의 탑신부만 남아 있고 그 위에 3개의 보주(寶珠)가 있다. 탑신석에는 양 우주(隅柱)가 모각되고 옥개석에는 3단의 옥개받침이 있으며, 정상에 상륜부재가 놓여 있다. 옥개석의 조성수법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남해 당항 신흥사 삼층석탑 (南海 唐項 新興寺 三層石塔)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3(지정일 1983.07.20)

    크기 : 탑의 높이 2.5m

    소재지 : 경남 남해군 남면 두양로 164 (당항리 872-1)

    조성시기 : 고려 말기

 

지금은 당항리 마을로 변한 신흥사(新興寺)의 옛 터에 있던 삼층석탑으로 마을에 사찰이 있었음을 알 수 있게 하며, 마을회관 앞뜰에는 신흥사의 주춧돌이 남아 있다. 신흥사는 언제 창건되어 폐사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신라의 원효대사가 창건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원래 이 석탑은 현재의 위치에서 서북방향으로 300m 지점 들판에 있었는데, 절터에 마을이 들어서면서 탑을 몇 차례 이동하였다고 한다. 지금의 자리인 마을회관 앞 도로변에는 1957년에 마을 주민들이 옮겨 놓은 것인데, 석탑을 옮길 때마다 각 부분의 탑재들이 없어지거나 훼손된 것으로 보인다.

 

석탑을 살펴보면 1층 탑신석과 1, 2, 3층 옥개석 및 상륜부의 보개(寶蓋)와 보륜(寶輪)이 남아 있고 하층 탑신부와 각 층 옥개석은 장식되어 있다. 2, 3층의 탑신석은 뒷날 보충한 것이다. 상륜부만 일부 유실되었을 뿐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석탑의 조성시기는 고려시대로 추정된다.

 

남해 대사리 정지석탑 (南海 大寺里 鄭地石塔)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2(지정일 1983.07.20)

    소재지 : 경남 남해군 고현면 탑동로 64-21

    조성시기 : 고려 우왕 9(1383)

 

이 석탑은 고려말기에 정지(鄭地, 1347-1391) 장군이 관음포에서 왜구를 격파하여 전쟁에 승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전승탑으로 전해온다.

 

관음포 전투는 고려 우왕 9(1383) 남해현의 관음포에서 왜구를 크게 무찌른 싸움이다. 고려말기에는 왜구가 빈번하게 침입하여 약탈을 일삼았다. 이에 고려는 여러 가지 대책을 세워 왜구를 격파했는데, 관음포 전투는 수군이 배를 이용하여 왜구를 무찌른 싸움이었다.

 

13835월 해도원수(海道元帥) 정지장군은 왜선 120척이 침입해온다는 급보를 전해 듣고는 나주와 목포에 주둔시켰던 배 47척을 이끌고 경상도에 왔다. 섬진강 어귀에 이르러 합포(合浦 ; 현 마산)의 군사를 징집하여 군대를 다시 정비하고 적과 대치했다. 이때 왜구가 대선(大船) 20척을 선봉으로 삼아 공격해오자 정지장군은 화포를 써서 17척을 불사르고 2,000여 명을 죽이는 큰 승리를 거두었다. 이에 남해(南海)를 구제한 은공과 승첩을 축송하고 또한 길이 후손에 빛내기 위하여 남해지역 주민들은 손수 돌을 깎고 다듬어서 탑을 세운 것이라고 전해오지만 입증할 수 있는 근거는 없다.

 

이 석탑은 고려시대 양식을 지니고 있는 탑으로 자연석의 큰 바위를 탑신 받침으로 하고 4각형의 탑신 4개와 조그만 원형 탑신, 옥개석 5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교란된 듯 한 형태를 보여준다. 석탑이 세워져있는 마을이 대사리(大寺里) 탑동(塔洞)이라는 지명과 탑의 유래비에 근거하여 살펴보면 사찰에 세워졌던 탑으로 추정되지만, 한편 왜구로부터 남해지방과 백성들을 구한 애국정신이 담겨져 있는 설화를 간직한 소박한 모습의 탑으로 주목된다.

 

남해 법흥사 석조대세지보살좌상(南海 法興寺 石造大勢至菩薩坐像)

    비지정 문화재

    크기 : 불상높이 51cm, 무릎폭 34cm

    소재지 : 경남 남해군 남해읍 망운로 10번길 45-10, 법흥사

    조성시기 : 조선 후기

 

남해 세심사 금동여래입상(南海 洗心寺 金銅如來立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00(지정일 2017.01.05)

    소재지 : 경남 남해군 흥선로 767-28 (창선면) 세심사 055-860-8635

    조성시기 : 통일신라 9세기

 

남해 척화비 (南海 斥和碑)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66(지정일 1997.12.31)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 410-18번지

    제작시기 : 조선 고종 8(1871)

 

남해 상주리 석각(南海 尙州里 石刻)=남해 양아리 석각(南海 良阿里 石刻)

    경상남도 기념물 제6(지정일 1974.02.16)

    소재지 : 경남 남해군 상주면 양아리 산4-3

                두모 주차장에서 부소암 방향 900m 지점

    제작시기 : 미상

 

금산 부소암의 평평한 바위 위에 새긴 그림문자이다. 일명 서불과차(徐市過此)’라고 불리는데, 지금까지 해독을 하지 못하여 내용은 알 수 없다. 전해오는 이야기로는 중국 진시황 때 삼심산 불로초를 구하기 위해 시종 서불이 이곳 금산을 찾아와서 사냥을 즐기다 떠나면서 자신들의 발자취를 후세에 남기기 위해 새긴 것이라고도 한다.

 

남해 무민사 석인상(南海 武愍祠 石人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남해군 미조면 미조리 539-3, 무민사(최영장군 사당)

    조성시기 : 조선시대

 

남해 덕월리 석장승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남해군 남면 덕월리 580

    조성시기 : 조선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