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양산시 불교석조문화재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梁山 通度寺 金剛戒壇)
국보 제290호(지정일 1997.01.08)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조성시기 : 조선시대
▶양산 통도사 봉발탑(梁山 通度寺 奉鉢塔)
보물 제471호(지정일 1968.12.19)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조성시기 : 고려시대
▶양산 통도사 삼층석탑(梁山 通度寺 三層石塔)
보물 제1471호(지정일 2006.06.01)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조성시기 : 통일신라시대
▶양산 통도사 오층석탑(梁山 通度寺 五層石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조성시기 : 1920년
▶양산 통도사 사자목 오층석탑(梁山 通度寺 獅子目 五層石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조성시기 : 나말여초
▶양산 통도사 석등(梁山 通度寺 石燈)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70호(지정일 1972.02.12)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조성시기 : 고려시대
▶양산 통도사 경내 석등 17기 (梁山 通度寺 境內 石燈 17基)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경내
조성시기 : 근대
▶양산 통도사 석당간 (梁山 通度寺 石幢竿)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03호(지정일 2004.03.18)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조성시기 : 여말선초
▶양산 통도사 사바교주석가여래영골사리부도비(梁山 通度寺 娑婆敎主釋迦如來靈骨舍利浮圖碑)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세존비각
건립시기 : 1706년
▶양산 통도사 괘불대 1쌍 (梁山 通度寺 掛佛臺 1雙)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조성시기 : 조선시대
▶양산 통도사 경내 석조소대 4기 (梁山 通度寺 境內 石造燒臺 4基)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경내
조성시기 : 조선시대
▶양산 통도사 경내 수조 3점 (梁山 通度寺 境內 水槽 3点)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경내
조성시기 : 1905년
▶양산 통도사 정광여래부도, 석등 (梁山 通度寺 錠光如來浮屠, 石燈)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조성시기 : 조선시대
통도사 대광명전 뒤편에 ‘錠光如來浮屠’로 口傳되어오는 浮屠와 石燈이 세워져 있다.
▶양산 통도사 성보박물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성보박물관
조성시기 : 통일신라시대
▶양산 통도사 성보박물관 석조대좌 2기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성보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통일신라시대
▶양산 통도사 성보박물관 석조선각공양자상(碑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성보박물관(야외)
조성시기 : 조선시대
▶양산 통도사 태강11년명 연화문 배례석(梁山 通度寺 太康11年銘 蓮華紋 拜禮石)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성보박물관
조성시기 : 고려시대(1085년)
본래 이 배례석은 영산전 앞 삼층석탑 앞에 있었던 것으로 명문내용이 후대에 추가됨으로 그동안 혼란이 있었다. 제작 당시에는 2매의 판석을 연결하여 장방형 구획 내에 당초문과 연화문을 조각한 형태였다. 내부 연화문은 복련형식이며, 한쪽측면에「太康十一年乙丑二月日造(태강십일년을축이월일조)」라고 음각하였으나 이에 추가하여 '十(십)'자를 '王(왕)'자로, '年(년)'자를 '拜(배)'자에 가깝도록 고침으로서「太康王一拜乙丑二月日造(태강왕일배을축이월일조)」처럼 되어 버렸다.
태강(太康)은 요(遼)나라 도종(道宗)의 연호로서 그 11년은 간지로 을축(乙丑)에 해당되며, 또 태강왕은 신라나 고려의 역대 왕 중에 없기 때문에 아마도 후대에 이 배례석이 임금이 직접 예배를 드리던 것으로 묘사하기 위하여 꾸며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배례석은 국내에서 그 제작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유일한 것으로 배례석 및 불상좌대의 연화문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통도사 성보박물관 야외전시장 불교석조문화재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성보박물관(야외)
▶양산 통도사 승탑원 승탑 45기 (梁山 通度寺 僧塔園 僧塔 45基)
‣승탑(僧塔)-조선 후기
‣청신녀동허당법명탑(淸信女東虛堂法明塔)-1832년
‣처사연화당묘성대사탑(處事蓮花堂妙成大師塔)-조선 후기
‣승탑(僧塔)-조선 후기
‣승탑(僧塔)-조선 후기
‣긍파당대연대사사리탑(肯坡堂大淵大師舍利塔)-1914년
‣승탑(僧塔)-조선 후기
‣취연당처윤대사탑(翠蓮堂處倫大師塔)-조선 후기
‣화곡당계천대사탑(花谷堂誡天大師塔)-조선 후기
‣연암당선행대사탑(蓮岩堂善幸大師塔)-조선 후기
‣신적당영인대사탑(新寂堂靈仁大師塔)-조선 후기
‣신암당덕균대사탑(新庵堂德均大師塔)-조선 후기
‣묘봉당성각대사탑(妙峯堂性覺大師塔)-조선 후기
‣승탑(僧塔)-조선 후기
‣송월당정환대사탑(松月堂淨還大師塔)-조선 후기
‣화월당달윤대사탑(花月堂達允大師塔)-조선 후기
‣승탑(僧塔)-조선 후기
‣천봉당등훈대사탑(千峯堂等勳大師塔)-조선 후기
‣정암당정우대사탑(鼎岩堂穽宇大師塔)-조선 후기
‣영한당종열대사탑(永閑堂宗悅大師塔)-조선 후기
‣정성당자호대사탑(靜性堂自浩大師塔)-조선 후기
‣계영당득총대사탑(桂影堂得聰大師塔)-조선 후기
‣화봉당위찰대사탑(花峯堂偉札大師塔)-조선 후기
‣청화당홍묵대사탑(靑華堂弘默大師塔)-조선 후기
‣영월당우징대사탑(影月堂瑀澄大師塔)-조선 후기
‣무영당축환대사탑(無影堂竺環大師塔)-조선 후기
‣승탑(僧塔)-조선 후기
‣보운당도엄대사탑(寶雲堂道嚴大師塔)-조선 후기
‣영서당덕흠대사탑(靈瑞堂德欽大師塔)-조선 후기
‣회진당의심대사부도탑(會眞堂義心大師浮塔)-1655년
‣동운당혜원대사탑(東雲堂慧遠大師塔)-조선 후기
‣무멸당의암대사탑(無滅堂義巖大師塔)-조선 후기
‣승탑(僧塔)-조선 후기
‣승탑(僧塔)-조선 후기
‣양진당숭신대사탑(養眞堂崇信大師塔)-조선후기
‣연파당덕장대사탑(淵坡堂德藏大師塔)-1804년
‣능암당지영대사탑(陵庵堂知英大師塔)-1724년
‣응암당희유대사탑(凝庵堂僖愈大師塔)-1713년
‣낙운당지일대사탑(洛雲堂智日大師塔)-1694년
‣우운당진희대사탑(友雲堂眞熙大師塔)-1694년
‣설송당연초대사탑(雪松堂演初大師塔)-1754년
‣한계당신묵대사탑(寒溪堂信黙大師塔)-1700년
‣용파당도주대사탑(龍坡堂道周大師塔)-1721년
‣서운당성측대사탑(西雲堂聖測大師塔)-조선 후기
‣구룡당천유대사탑(九龍堂天侑大師塔)-1765년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승탑원
▶양산 용화사 석조여래좌상(梁山 龍華寺 石造如來坐像)
보물 제491호(지정일 1968.12.19)
크기 : 불신 125cm, 대좌 95cm, 광배 150cm
소재지 : 경남 양산시 물금읍 원동로 199-133, 용화사
조성시기 ; 9세기 경
이 불상은 김해군 상동면 감로리 절터에 있던 것을 조선시대 말에 부근의 강변으로 옮겼으며, 1947년 2월에 법당을 다시 지으면서 현재의 장소로 옮겼다. 대좌와 광배를 갖춘 완전한 불상이다. 연화대좌의 팔각 중대석 각 면에는 공양자상이 조각되어 있고, 광배 뒷면에는 천인상이 양쪽으로 배치되어 새겨져 있다.
▶양산 호계리 마애불좌상(梁山 虎溪里 磨崖佛坐像)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96호(지정일 1979.05.02)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호계동 산55번지
조성시기 : 조선 중기
큰 바위에 새겨진 마애불로 바위 밑의 동굴에는 온돌을 설치했던 흔적이 있으며, 원효대사가 수도했던 ‘반고굴(磻高窟)’이라고 전해지지만 확실한 근거는 없다.
▶양산 미타암 석조아미타불입상 (梁山彌陀庵 石造阿彌陀如來立像)
보물 제998호(지정일 1989.04.10)
크기 : 총높이 205cm, 불신 149cm
소재지 : 경남 양산시 주진로 379-61, 미타암 (소주동)
조성시기 ; 8세기 중엽경
이 불상은 신라 경덕왕 때 다섯 명의 비구가 수도하던 석굴에 극락왕생을 기념하기 위해 조성하였다는『삼국유사』권5 「포천산오비구경 덕왕대조」에 나오는 포천산 석굴불상으로 추정되어 주목을 받는 작품으로, 8세기 당시 석굴 사원 조영의 한 단면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양산 원효암 마애아미타삼존불입상(梁山 元曉庵 磨崖阿彌陀三尊佛立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31호(지정일 2005.07.21)
크기 : 본존불 95.4cm, 좌협시보살 86.5cm, 우협시보살 88.5cm
소재지 : 경남 양산시 상북면 대석리 산6-1번지
조성시기 : 1906년
▶양산 원효암 석조약사여래좌상, 복장유물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430호(지정일 2005.07.21)
크기 : 전체높이 77cm, 복장유물 3점
소재지 : 경남 양산시 상북면 대석리 산 6-1번지
조성시기 : 순치(順治) 5년(인조 26, 1648)
▶양산 가산리 마애여래입상 (梁山 架山里 磨崖如來立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9호(지정일 1972.02.12)
크기 : 높이 12m, 폭 2.5m
소재지 : 경남 양산시 동면 가산리 산 3-2
조성시기 ; 통일신라 말기 - 고려 초기
▶양산 통도사 성전암 석조약사여래좌상(梁山 通度寺 聖田庵 石造藥師如來坐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백록리 533, 성전암
조성시기 : 통일신라 후기-고려 초기
▶양산 통도사 성전암 석불좌상(梁山 通度寺 聖田庵 石佛坐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백록리 533, 성전암
조성시기 ; 미상
▶양산 통도사 성전암 삼층석탑(梁山 通度寺 聖田庵 三層石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백록리 533, 성전암
조성시기 :
▶양산 통도사 성전암 승탑 2기(梁山 通度寺 聖田庵 僧塔 2基)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백록리 533, 성전암
조성시기 : 조선 후기
▶양산 통도사 성전암 주지실 석불좌상(梁山 通度寺 聖田庵 住持室 石佛坐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백록리 533, 성전암 주지실
조성시기 ; 고려시대
▶양산 시명사 석조약사여래입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시명길 199, 보광사 (舊 시명사)
조성시기 : 조선시대
▶양산 법천사 석조여래좌상 (梁山 法泉寺 石造如來坐像)
경남 유형문화재 제493호(지정일 2010.03.11)
소재지 : 경남 양산시 동면 금산리 105, 법천사
조성시기 : 조선시대 후기
▶통도사 축서암 일제강점기 석불입상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 축서암
조성시기 ; 1920-40년대
▶양산 법천사 일제강점기 석불 2구(梁山 法泉寺 日帝强占期 石佛 2軀)
‣일제강점기 석불좌상(대일여래)
‣일제강점기 석불입상(부동명왕)
소재지 : 경남 양산시 동면 금산리 105, 법천사
조성시기 : 일제강점기(1910-1940년대)
일제강점기 석불상 2구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소재 불광사에 있던 것을 10여 년 전에 법천사로 옮겨온 것이다.
▶양산 대원군 척화비((梁山 大院君 斥和碑)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0호(지정일 1979.05.02)
소재지 : 경남 양산시 상북면 소토로 38,
조성시기 : 조선 고종 8년(1871)
▶양산 통도사 자장암 마애아미타여래삼존상(梁山 通度寺 慈裝庵 磨崖阿彌陀如來三尊像)
등록문화재 제617호(지정일 2014.10.29)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 통도사 자장암
조성시기 : 고종 33년(1896)
▶양산 통도사 자장암 승탑(梁山 通度寺 慈裝庵 僧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 통도사 자장암
조성시기 : 고려중기(12-13세기 경)
이 승탑은 자장암 큰스님이 서울의 한 개인주택에 있던 것을 2016년 1월경에 옮겨온 것이라고 한다.
▶양산 통도사 자장암 삼층석탑(梁山 通度寺 慈裝庵 三層石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 통도사 자장암
조성시기 : 조선시대
▶양산 통도사 국장생 석표(梁山 通度寺 國長生 石標)
보물 제74호(지정일 1963.01.21)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백록리 718-44
건립시기 : 고려 선종 2년(1085)
▶통도사 양산포교당 석조관음보살좌상(通度寺 梁山布敎堂 石造觀音菩薩坐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78호(지정일 2009.03.05)
소재지 : 경남 양산시 북부동 309, 양산포교당 3층 극락보전
조성시기 : 조선 후기(1688년)
▶양산 통도사 극락암 석조관음보살좌상
문화재자료 제383호(지정일 2005.10.13)
소재지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583, 통도사 극락암 무량수각
조성시기 ; 도광 15년(헌종 1년, 1835)
♣극락암 단하각 석조독성상(조선 말-근대, 상높이 50.3cm 무릎폭 28.5cm)
♣극락암 수세전 석조관음보살좌상, 석조지장보살좌상(조선 말-근대)
▶양산 내원사 석조보살좌상(梁山 內院寺 石造菩薩坐像)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42호(지정일 2004.03.18)
크기 : 불상높이 47.2cm, 어깨폭 22.5cm, 무릎폭 31.8cm
소재지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291, 내원사 선해일륜
조성시기 : 조선 후기
▶양산 용연사지 승탑 2기
♣선화대자성대사부도(仙化臺自性大師塔)-강희 12년(1673)
♣계월당탑(桂月堂塔)-순치 10년(1653)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265. 노전암 대웅전 북쪽
선화대자성대사부도는 노전암 대웅전 북쪽에 위치한 2기의 부도 가운데 좌측의 것이다. 이 부도는 석종형(石鐘形)인데, 기단부는 복련(覆蓮) 하대석 위에 팔각형의 중대석과 앙련(仰蓮)이 조각된 상대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팔각형 중대석 각 면에는 신중상(神衆像)이 조각되어 있으며, 하대석에는 운문(雲文)이 장식되어 있다. 석종 모양의 탑신부에는 별다른 조식(彫飾)이 없으며 정상에 보주형 장식이 조각되어 있다. 부도탑 앞의 탑비에는 ‘비구니선화대자성대사지부도(比丘尼仙化臺自性大師之浮屠)’라고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강희십이년계축사월(康熙十二年癸丑四月)’이라고 새겨져 있어 강희 12년, 즉 1673년(현종 14)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계월당부도는 전면에 ‘계월당(桂月堂)’이라고 새겨져 있고, 하부의 지대석(地臺石)에 ‘순치십년계사춘삼월일립(順治十年癸巳春三月日立)’이라고 새겨져 있어 순치 10년, 즉 1653년(효종 4)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석조문화재 > 佛敎 石造文化財 資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 진주시 불교석조문화재 (0) | 2020.02.18 |
---|---|
경남 의령군 불교석조문화재 (0) | 2020.02.18 |
경남 산청군 불교석조문화재 (0) | 2020.02.09 |
경남 사천시 불교석조문화재 (0) | 2020.02.08 |
경남 밀양시 불교석조문화재 (0) | 2020.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