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조문화재/佛敎 石造文化財 資料

경남 창원시 불교석조문화재

정태욱 2020. 2. 25. 18:18



경남 창원시 불교석조문화재

 

창원 불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昌原 佛谷寺 石造毗盧遮那佛坐像)

    보물 제436(지정일 1966.02.28)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성산구 대암로 55, 불곡사 비로전

    조성시기 : 통일신라시대 (9세기 후반)

 

창원 불곡사 석조부재(昌原 佛谷寺 石造部材)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성산구 대암로 55, 불곡사 경내

    조성시기 :

 

창원 고현리 석불좌상(破佛)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고현리 429-1 대흥사

    조성시기 : 고려시대

 

창원 석봉암 마애불입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교방동 산20 석봉암

    조성시기 :


     ♣석봉암 日帝强占期 日本四國 88野佛 2座 (22, 3)

     ♣석봉암 日帝强占期 日本石佛立像 1

 

창원 남사지 마애불좌상 [도난 됨]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의창구 북면 월백리 산23 (백운사 경내)

 

삼국유사에 창건연기가 소개되어 있는 백월산(白月山) 남사지(南寺址)에서 출토된 불상이다. (2011년 11월 20일 답사시 불상이 없으며 행방이 묘연함)

삼국유사, 탑상편 남백월이성 노힐부득 달달박박 - 창건연기가 소개됨

 

창원 북사지 석조여래좌상. 마애여래좌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의창구 북면 월계리 산136 백월암

 

석불상 조각편은 백월암 법당 뒤 처마 아래에 있으며, 불두(佛頭)는 주지스님이 보관하고 있다. 마애불좌상은 산신각 옆 뜰에 있다.

 

창원 상천리사지 석조여래좌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학로 20, 국립창원대학교 박물관 옆

    조성시기 : 고려시대

 

원래 이 불상은 창원시 북면 상천리 산183번지 소재 농로 옆 밭에 佛頭缺失된 채 하반신 부분이 묻혀 있었다. 불상을 살펴보기 위해 20121225일 이곳을 찾았을 때는 이미 도난당한 뒤여서 남도석불연구소 이홍식 소장에게 연락한 뒤 도난신고를 부탁하였으며, 도난 시기는 201210-12월경으로 추정되었다.

그 후 이 불상은 창원시민들의 노력으로 20181031일에 다시 되찾았으며, 현재 창원대학교 박물관 야외전시장으로 옮겨 보호·관리하고 있다. 불두는 도난 되었을 때 보완된 것이다.

전반적으로 이 불상은 불신에 비해 어께 폭이 좁은 편이고 통견식의 축 쳐진 법의자락에 표현된 옷 주름 등의 요소에서 조각수법이 퇴화되어가는 형식화의 경향을 보여주므로 조성시기는 고려시대로 추정된다.

 

창원대학교 석탑재(탑신석 1, 옥개석 1)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학로 20, 국립창원대학교

    조성시기 : 고려시대

 

창원대학교 석구(石臼)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학로 20, 국립창원대학교

    조성시기 : 조선시대

 

창원 달천암 석조약사여래좌상 (昌原 達川庵 石造藥師如來坐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의창구 북면 달천길 98-125, 달천암 미륵전

    조성시기 : 고려시대

 

이 불상은 사찰측에 의하면 1950년대 중반 경에 천주산 정상 아래편인 서재골 계곡 옆에서 동네주민이 발견하여 주민들이 목도를 이용하여 달천암으로 옮겨온 불상이라고 한다.

 

창원 천주암 석조약사불좌상(昌原 天柱庵 石造藥師佛坐像)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전체높이 약 100cm, 너비 80cm, 두께 10cm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의창구 동정동 산9-1, 천주암

    조성시기 : 고려시대

 

창원 소답동 석조보살좌상(昌原 召畓洞 石造菩薩坐像)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전체높이 100cm, 너비 55cm, 25cm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의창구 소답동 131-14

                2018년에 창원대학교 박물관 수장고로 옮김

    조성시기 : 고려 후기

 

이 석불은 원래 소답동 131번지 金氏古家(金鐘瑛 生家) 근처에 있던 것을 현재의 위치인 북산의 서쪽자락으로 옮겨놓은 것이라고 하며, 마을주민들에 의해 山神으로 모시면서 요즘에도 제사를 지내는 불상이라고 한다.

보살상은 전반적인 형상과 더불어 앉은 자세가 경주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보물 제199)에서와 같이 오른쪽 다리를 아래로 내리고 있어서(半跏坐) 특히 주목된다.

한편 이 불상은 2017년 소답주민운동장 공사 때 귀중한 불교문화재를 인지하지 못한 공사관계자에 의해 매몰된 것을 201895일에 다시 찾아내어 현재 국립창원대학교 박물관으로 옮겼다.

 

창원 법청사 석조여래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총 높이 193cm, 불신 110cm, 대좌 83cm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외동 601, 법청사

    조성시기 : 고려시대

 

8각 연화대좌를 갖춘 높이 약 193cm, 어깨폭 55cm, 대좌 83cm 크기의 여래좌상으로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석불의 원래위치는 알 수 없으며, 양쪽 귀는 약 12cm 크기이나 따로 붙였다.

 

창원 천선동 폐사지 석불좌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76-1, 보호각

    조성시기 : 고려시대


창원 동정동 선각마애불상군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의창구 천주로 157번길 11, 천수사

    조성시기 : 통일신라시대(추정)


마애불은 동정동 굴현고개 입구의 주민 김종환씨 집 뒤편에 있는 큰 바위에 새겨져 있다. 이 바위는 높이 4m, 너비 6m정도의 크기이다.

바위의 윗면에는 선각으로 2쌍의 삼존불상이 새겨져 있다. 삼존불은 중앙에 본존여래좌상이 자리하고 양쪽에 협시보살을 거느리고 있는 모습인데, 2쌍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그 아래편에는 풍화에 마모되어 형상이 뚜렷하지는 않지만 큰 불좌상의 흔적이 희미하게 보여 주목된다.

 

창원 동정동 일제강점기 석불좌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의창구 천주로 157번길 11, 천수사 경내

    조성시기 : 일제강점기

 

창원 용화전 석불좌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3(1972.02.12)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외동 853-7 성산패총 경내

    조성시기 : 통일신라 말 -고려 초

 

일명 절골이라 불리는 창원시 소답동 용화전에 있던 불상이다.

 

창원 성산패총 석불좌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창원시 외동 853-7 (성산패총 용화전 석불좌상 뒤편에 있음)

    조성시기 : 미상

 

창원 삼정자동 마애여래좌상(昌原 三丁子洞 磨崖如來坐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98(지정일 1979. 02.02)

    크기 : 총 높이 ; 130cm, 너비 ; 100cm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삼정자동 산48

    조성시기 : 통일신라시대

 

광배와 대좌를 모두 갖춘 조각수법이 뛰어난 작품이지만, 전체적으로 마멸이 심한 편이다. 상현좌 형식 등 조각양식에서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성주동 155-2 주차 후 도보)

 

창원 불모산동 석불좌상

    비지정 문화재

    크기 : 불상 전체높이 98cm, 어깨너비 46cm, 무릎너비 96cm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불모산동 산203

               (한국전기연구원 뒷 담벽 근처 야산의 민묘 근처 보호각 속에 있음)

    조성시기 : 고려시대

 

보호각 속에 안치되어 있는 석불좌상은 8각 대좌 위에 결가부좌한 자세이며, 파손이 심한 편으로 불두는 결실된 것을 후대 주민들이 새로 만들어 붙였으며 오른손 부분도 손상되었다. 불상 뒷면 목에서 아래로 약 12cm 떨어진 곳에 2cm 크기의 둥근 구멍이 뚫려 있다.

문화유적총람에는 고려시대 불상으로 속칭 미륵등(彌勒登) 석불로 알려져 있다. 불두는 근래 새로 만든 것이며, 오른손 부분은 손상되었다.

폐사지 총람에는 '불모산동 사지1'로 보고되어 있지만, 행정구역 변경으로 '천선동사지 1'로 기록되어 있다.

폐사지에 있던 석불입상은 도난당했으며, 폐탑재는 용지공원(창원시 의창구 용호동 1번지)으로 옮겨져 복원되었다.

 

창원 창원 관음사 용왕단 석조보살좌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의창구 동정동 153 관음사 산신각 용왕단

    조성시기 : 조선시대 후기

 

진해 성흥사 승탑원 승탑 8

     ♣금파당원혜탑(金波堂圓慧塔) - 조선후기

     ♣송악당명영탑(松嶽堂明瑩塔) - 조선후기

     ♣송파당덕수탑(松坡堂德絒塔) - 조선후기

     ♣제송당낭총탑(薺松堂浪聰) - 조선후기

     ♣청계당찬관탑 淸溪堂贊寬塔) - 조선후기

     ♣일명승탑(逸名僧塔) 3조선후기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진해구 대장로 273, 성흥사 승탑원

 

창원 백룡사 삼층석탑(昌原 白龍寺 三層石塔)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전체높이 238cm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의창구 북면 온천로 841, 백룡사

    조성시기 : 조선시대

 

이 삼층석탑은 북면 불탑골(마금산온천 부근)에 도괴되어 있던 것을 1939년에 옮겨온 것이라고 한다.

석탑을 살펴보면 각 부분 탑재의 구성이 제 것이 아닌 다른 탑재로 보완한 것으로 추정되며, 2기 이상의 석탑부재로 조합하여 세운 것으로 보인다.

 

창원 봉림사지 삼층석탑(昌原 鳳林寺址 三層石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2008.08.22)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의창구지귀로60번길 13-13, 상북초등학교 교정

    조성시기 : 고려초기

 

창원군지'에 의하면 원래 봉림사지에 있었으나, 일본강점기 때 일본으로의 반출을 위하여 부산으로 팔려갔다가 다시 현지로 돌아 왔으나, 관리상의 문제로 1960년 창원교육청에서 현재의 상북초등학교 교정으로 옮겨 놓았다고 한다.

여러 번 옮기는 과정에서 파손이 심한 편이지만 안산암제의 이중기단을 갖춘 삼층석탑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단부와 일부 옥신석, 상륜부는 결실된 것을 화강암으로 임의 복원해 놓았기 때문에 원래의 탑재와 재질, 기법상 차이가 있다. 초층 탑신에는 장방형의 문비를 조각했다. 전체적인 조각수법으로 보아 고려 초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마산 무학산 磨崖不動明王, 磨崖龍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완월동 산 98-69,

               [삼광사(폭포암) 우측 위쪽]

    조성시기 : 소화 11(1936)


      昭和十一年. 六月 吉祥日. 發起人 村崎仁三郞.

      中派賢潛 北川久吉. 堀田孫之 入江政一. 田中宗賢 野村一夫


마산고등학교 문석인(馬山高等學校 文石人)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심온길 33, 마산고등학교

    제작시기 : 조선시대

 

창원 광산사 목조보살좌상(昌原 匡山寺 木造菩薩坐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40

    크기 : 상높이 115cm, 무릎폭 77cm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광려로 542, 광산사 극락전

    조성시기 : 조선 후기

 

창원 광산사 석조보살반가상(昌原 匡山寺 石造菩薩半跏像)

    비지정 문화재

    크기 : 상높이 40cm, 무릎폭 19cm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광려로 542, 광산사 극락전

    조성시기 : 조선 후기

 

창원 광산사 승탑원 승탑 1, 승탑부재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광려로 542, 광산사 승탑원

    조성시기 : 조선 후기

 

창원 광산사 석등부재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광려로 542, 광산사

    조성시기 : 조선 후기

 

창원 의림사 삼층석탑 (昌原 義林寺 三層石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72(지정일 1974.02.16)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의림로 382

    조성시기 : 통일신라 후기(추정)

 

창원 의림사 석등재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의림로 382, 의림사

    조성시기 : 통일신라

 

창원 의림사 불상대좌 하대석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의림로 382, 의림사

    조성시기 : 통일신라

 

창원 의림사 석불()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의림로 382, 의림사

    조성시기 :

 

창원 의림사 맷돌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의림로 382, 의림사

    조성시기 : 조선시대

 

창원 의림사 석구(昌原 義林寺 石臼)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의림로 382, 의림사

    조성시기 : 조선시대

 

창원 의림사 괘불대 1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의림로 382, 의림사 경내 

    조성시기 : 조선시대

 

창원 의림사 부도전 부도 3

     ♣승탑(僧塔) - 조선후기

     ♣한유당탑(閑遊堂塔) - 조선후기

     ♣승탑(僧塔) - 조선후기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인곡리 574-1, 의림사 부도전

    조성시기 : 조선시대

 

창원 의림사 괘불대 1(경외)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인곡리 1064

                (사찰입구 약 300m지점 도로변, 부도전 인근)

    조성시기 : 조선시대

 

마산 법성사 목조보살좌상 (馬山 法成寺 木造菩薩坐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72(지정일 2008.05.22.)

    크기 : 불상높이 74.8, 무릎 폭 51.3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회원동북로 21-20, 법성사 대웅전

    조성시기 : 조선 후기

 

목조보살좌상은 법성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아미타불의 우 협시보살이다. 원래 마산합포구 자산동의 보광사에 봉안되었던 것을 19835월 옮겨온 것이다. 변형 통견의에 결가부좌한 좌상이며, 따로 만들어서 결합한 양 손에는 연꽃 가지가 들려 있다.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보살좌상은 머리에 화려하고 높은 보관을 쓰고, 결가부좌의 자세로 앉아 있다. 양손은 살짝 구부린 엄지와 중지를 자연스럽게 맞대어 오른손은 어깨 앞으로 들고 왼손은 다리 위에 살짝 놓아 연봉가지를 들고 있다. 어깨가 넓고 허리가 짧은 상반신에 적당한 무릎 폭이 안정감 있어 보인다.

 

머리에는 가운데가 높은 원통형 보관을 쓰고 있는데, 가장자리는 화염문 입식을 달고, 정면에는 구름 속에 마주하는 봉황과 꽃으로 장식되어 있다. 일정한 간격으로 가닥을 나눈 앞머리와 귀 옆으로 내려온 세 가닥의 머리가 어깨에서 모여 다시 세 가닥으로 흘러내리는 형식은 조선 후기 보살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특징이다. 네모진 얼굴에 가는 눈이 사선으로 길게 올라가고, 짧은 코, 가늘고 긴 입술에 희미하게 미소를 띠고 있는 개성 있는 인상이다.

옷은 오른쪽 어깨에서 편삼을 입고 그 위에 대의를 편단우견식으로 돌려 입은 변형 통견식이므로 오른쪽 어깨에는 편삼만 보인다. 배 앞으로는 편삼과 대의자락이 서로 교차하고 있으며, 교차점이 살짝 벌어져 당겨 올라간 것처럼 보이는데, 이와 같은 특징은 조각승 하천(夏天)이 조성한 서울 지장암 목조관음보살상(1726) 등과 유사하다. 가슴 아래 가운데가 대각선으로 접힌 일직선의 승각기를 입었다. 양다리 사이에 양측으로 3개씩의 주름이 있으며, 왼쪽 무릎 앞으로 넓적한 옷주름 하나가 있는데 이 역시 하천의 불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양식적 특징이다. 하천(夏天)은 전라도 지역에서 활동한 색난(色難)의 계보를 잇는 조각승으로 이 불상은 색난파(色難派) 불상으로 추정된다.


마산 법성사 오층석탑(日本樣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회원동북로 21-20, 법성사 경내

    조성시기 : 일제강점기

 

마산 법성사 석등(日本樣式)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회원동북로 21-20, 법성사 경내

    조성시기 : 일제강점기

 

마산 용주암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馬山 龍珠庵 木造阿彌陀三尊佛坐像)

    비지정 문화재

    크기 : 본존불상 높이 89cm, 무릎 폭 61cm

             관음보살 높이 86cm, 무릎 폭 55cm

             세지보살 높이 85cm, 무릎 폭 53cm

    소재지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서원곡1256, 용주암

    조성시기 : 조선 후기

 

창원 성주사 석조관음보살입상(昌原 聖住寺 石造觀音菩薩立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35(1997.12.31)

    크기 : 불상높이 148cm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성산구 곰절길 191, 성주사 용화전

    조성시기 : 고려시대

 

창원 성주사 삼층석탑(昌原 聖住寺 三層石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5(1972.02.12)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성산구 곰절길 191, 성주사

    조성시기 : 고려시대

 

이 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현재 아래층 기단은 일부만 남아 있고, 위층 기단에는 네 모서리와 면의 가운데에 기둥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탑신은 1층 몸돌에 간단한 문짝모양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4단이고 처마선은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네 귀퉁이는 치켜올림이 심한 편이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보주(寶珠:꽃봉오리모양의 장식)모양의 석재가 놓여 있지만 원래의 것은 아니다.

간략해진 수법과 양식으로 소박한 느낌을 주는 석탑으로,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창원 성주사 석등 2(昌原 聖住寺 石燈 2)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성산구 곰절길 191, 성주사

    조성시기 :

 

창원 성주사 석조물(石臼, 고맥이돌...)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성산구 곰절길 191, 성주사

    조성시기 :

 

창원 성주사 송설당 최씨 공덕비(昌原 聖住寺 松雪堂 崔氏 功德碑)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친선동 산 213-19, 성주사 입구

    제작시기 : 1921

 

조선왕조 마지막 궁중여류시인이자 육영사업가인 최송설당(1855-1939)의 공덕비가 성주사에도 있다. 송설당 여사는 39세에 불교에 귀의하였는데, 이곳 성주사는 1920년 경에 절을 중창하면서 칠성각을 중창할 때 많은 도움을 드린 것으로 추정된다. 새겨진 명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松雪堂

    和順 崔氏

    身爲女子 몸은 여자로 태어났지만

    聖恩如天 성스러운 은혜는 하늘같네.

    閣建七星 칠성각을 세워서

    壽祝萬年 만년을 축수하네.

    辛丑 月 日 辛酉 (1921)

 

송설당(1855-1939) 공덕 각자바위가 있는 곳은 성주사 입구 주차장에서 도로를 따라 걸으면 좌측에 부도전이 있으며, 이곳에서 옛길로 오르면 좌측으로 바위에 새겨진 여러 신도들의 공덕비가 보이고 계속 길을 오르면 나무아미타불 각자바위가 나온다. 이곳에서 20m 가량 앞으로 걸어가면 좌측에 송설당 각자바위를 만날 수 있다.

 

창원 성주사 승탑원 승탑 3(昌原 聖住寺 僧塔園 僧塔 3)

     ♣지월당광세탑(智月堂廣世塔)-1781

     ♣금파당원혜탑(金坡堂圓慧塔)-1773

     ♣금파당대선사원혜탑비(金坡堂大禪師圓慧塔碑)-1773

     ♣승탑(僧塔)-조선후기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성산구 곰절길 191, 성주사 승탑원

 

창원 불모산 삼층석탑(昌原 佛母山 三層石塔)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의창구 용호동 3, 용지문화공원 내

    조성시기 : 통일신라시대

 

창원 용지문화공원 문인석 2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의창구 용호동 3, 용지문화공원 내

    조성시기 : 조선시대

 

창원 천지사 석조여래좌상(昌原 天地寺 石造如萊坐像)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24(지정일 2007.06.28)

    소재지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남산로17번길 33 (팔용동)

                            불교문화센터 청허선원

    조성시기 : 조선 후기

    

창원 봉림사 석조여래좌상(昌原 鳳林寺 石造如來坐像)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50(1972.02.12)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의창구 봉곡로 93번길 39-1, 봉림사 대웅전

    조성시기 : 조선 후기

 

창원 봉림동 마애보살입상

    비지정 문화재

    소재지 : 경남 창원시 의창구 봉림동 산50 (창원컨트리클럽 안에 있음)

    조성시기 :

 

화강암에 돋을새김 되었으나 선각에 가깝다. 목에는 3도가 표현되었고, 상체는 법의가 드러나지 않아 나신에 가깝다. 수인은 왼손을 가슴 쪽으로 끌어올린 설법인 형태이다.